간편결제 서비스의 대표격인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이용이 최근 수년간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빅테크 기업의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송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전자금융업자 간편결제 가입자 수 및 매출액’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페이 서비스의 올 상반기 결제액은 12조 8,200억여 원에 달했다. 반 년 만에 지난해 총 결제액인 17조 7,800억여 원의 70%가 넘는 금액을 채운 것이다. 2019년 거래액은 네이버페이 운영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이 분사한 11월부터 집계된 1조 8,300억여 원이었다.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서비스의 올 상반기 거래액도 9조 1,000억여 원으로 지난해 총 결제액(12억 4,500억여 원)의 73%에 해당했다.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거래액은 2018년 3조 2,700억여 원, 2019년 7억 1,300억여 원으로 꾸준히 늘었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서비스는 가입자 수 면에서도 급상승세를 보였다. 네이버페이 가입자는 2019년 2,500만여 명, 지난해는 2,800만여 명이었다가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2,900만여 명을 기록했다.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서비스 가입자 수도 최근 꾸준히 증가했다. 2018년 1,800만여 명, 2019년 2,200만여 명, 지난해 2,500만여 명이었고, 올 상반기에는 2,700만여 명에 달했다. 두 서비스의 올 상반기 가입자 수 모두 지난해 전체 기간 가입자 수를 넘긴 것이다.
두 서비스의 선불 충전금 규모도 다른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보다 훨씬 컸다. 올해 3월 기준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선불 충전금은 3,200억여 원, 네이버페이 선불 충전금은 560억여 원으로 도합 3,700억여 원이었다. 이는 같은 시기 쿠팡의 ‘쿠페이’(730억여 원), 이베이코리아의 ‘스마일페이’(580억여 원), 11번가의 ‘SK 페이’(180억여 원) 각각의 선불 충전금을 합한 1,400억여 원의 약 3배에 달하는 규모다.
송 의원은 “플랫폼이 간편결제사업자로 금융업에 진출하면서 빅테크가 출현했고, 이로 인해 금융과 비금융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현재 빅테크가 간편결제 가맹점에서 걷는 수수료가 카드수수료보다 많다. 수수료 원가 분석과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