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2021 한국건축문화대상-우수상] 파우재, 소나무가 기다려준집

소나무와 흙처럼…산골과 하나가 되다

잣나무 껍질 같은 흙미장이 기본

주변과 조화 고려 집 눈높이 낮춰

강원도 산골에 자리잡은 '파우재'는 주변 환경에 녹아드는 건축물이다. 창문의 높이를 낮춘 것도 위화감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다.강원도 산골에 자리잡은 '파우재'는 주변 환경에 녹아드는 건축물이다. 창문의 높이를 낮춘 것도 위화감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다.




이 곳은 노부부가 사는 집이다. 소나무와 잣나무가 많고 흙이 좋은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의 어은골 계곡에 자리 잡았다. 봄과 여름 사이에는 송화가루가 노랗게 쌓이고, 겨울엔 삭바람이 지나면서 눈을 흩뿌린다. 강원도 산골에는 수천 그루의 잣나무, 소나무가 있었다. 그 사이에 지어진 ‘파우재’는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마치 처음부터 거기 있었던 것 같다.



‘처음부터 거기에 있었던 것처럼’을 모토로 주변과 녹아들길 바랐던 것이 이 집의 설계의 시작점이었다. 그래서 어쩌면 당연하게도 집을 짓는 재료는 나무와 흙이 됐다. 소박하면서도 힘 있는 뼈대와 서까래, 거칠지만 자연스러운 질감을 가진 잣나무 껍질 같은 흙미장이 기본이 됐다.

관련기사





집은 눈높이를 낮춰 혹시나 집이 주변 자연 환경을 위압할지 않을까하는 염려를 덜어냈다. 한옥의 처마선을 기본으로 해 창문의 높이를 모두 1.8미터 이하로 낮췄다. 집안에서는 고개를 조금 숙이거나 앉아야만 계곡과 숲을 볼 수 있다. 노부부가 사는 집인 만큼 주택의 편의성은 유지했지만, 한옥과 같이 목조주택의 맛을 살리기 위해 실내에서 목구조 프레임을 최대한 노출시켰다. 조명의 기본 또한 구조목을 사용하고 모양은 최대한 단순하게 설계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건축가는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 수정을 거듭했다. 잣나무 껍질의 미감을 흉내내기 위해 흙미장의 깊이와 모양을 2주일 동안 수정하면서 만들어냈다. 색깔 또한 두 번의 수정을 거쳐 매혹적인 계곡과 숲에 누가 되지 않을 정도로 결과물을 도출해냈다.

이런 노력 속에 집은 정말 자연 속에 원래 있었던 것 같은 모습을 이뤄냈다. 계절이 지나고 푸르름이 변하는 과정에 이 집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건축가는 소박하고 단촐함을 기본으로 집을 만들고, 앞으로의 정체성은 살아가는 가족에게 오롯이 맡기기로 했다. 처음 집을 지을 때는 두 노부부가 살아가는 집이 건축의 목적이었다. 하지만 집을 짓는 과정에서 노부부의 자녀들과 건축가는 많은 대화를 나눴고, 공간의 목적 또한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는 민박집(스테이)이 됐다. 자연 속 모든 것이 그렇듯이 집 또한 단순히 용도가 특정된 존재가 아니다. 이용하는 사람이 누구이고, 어떤 목적을 지녔느냐에 따라 이 공간은 완벽하게 다른 ‘무엇’이 될 수 있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가면 지금보다 더욱 자연과 하나가 될 것이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