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버스 공공 와이파이, LTE에서 5G로 4배 빨라진다


기존 LTE이던 버스 와이파이(Wi-Fi)에 5G가 적용돼 속도가 4배 이상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는 버스를 시작으로 공공 와이파이 구축을 확대·고도화 해 더 빠르고 편리한 이용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정문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들과 '버스 공공와이파이 5G 시범서비스 개통식 및 시연' 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원욱 위원장, 조승래 국회의원, 정희용 국회의원, 김영식 국회의원, 이용빈 국회의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정문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들과 '버스 공공와이파이 5G 시범서비스 개통식 및 시연' 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원욱 위원장, 조승래 국회의원, 정희용 국회의원, 김영식 국회의원, 이용빈 국회의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버스 와이파이 5G 전환, 공공장소 WiFi 6E 칩셋 적용, 10G 인터넷 백홀 공공와이파이 구축 등 내용을 담은 ‘공공와이파이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공공와이파이는 공공장소 2만8,000개, 전국 시내버스 2만9,000대 등에서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들이 동영상 스트리밍 등 고용량 데이터를 갈수록 많이 이용함에 따라 속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우선 버스 공공 와이파이에 5G 기간망을 적용해 속도를 기존 100Mbps(초당 메가비트) 이하에서 400Mbps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날부터 12월 26일까지 전국 100대 버스에 5G 시범서비스를 진행한다. 과기부 관계자는 “버스 와이파이는 공공와이파이 중 사용량이 가장 많고 이용자 만족도도 높다”며 시범사업 배경을 설명했다. 과기부는 시범사업을 거쳐 오는 2023년까지 전국 버스 와이파이를 5G로 전환할 계획이다.

도서관과 공원 등 공공장소 와이파이도 확대 구축한다. 오는 2022년부터는 차세대 기술인 WiFi 6E를 신규 구축 공공와이파이에 단계적 도입해 동시접속자와 속도를 개선한다. 올해 중에는 프로스포츠 경기장, 버스정류장 등 밀집도 높은 400여 개 공공장소를 선정해 5G 28GHz 무선 백홀과 10G 인터넷 백홀 기반 와이파이를 신규 시범 구축한다. 또 지하철 2호선 지선구간 28GHz 5G 백홀 기반 와이파이 실증을 통해 적용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날 과기부는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에서 ‘버스 공공와이파이 5G 시범서비스 개통식 및 시연’을 진행했다. 임혜숙 과기부 장관은 “시내버스 와이파이에 5G가 도입된 것을 의미있게 생각한다”며 “시민들이 향후 보다 빠르고 편리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누구나 차별없이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 포용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