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서면에 ‘신발 특구’ 생긴다

생산유발효과 562억원·부가가치 유발효과 350억원·소득유발효과 185억 원 등

특허법 등 5개 규제특례 적용…598명의 일자리 창출 기대

부산 부산진구 부암동 진양교차로에 위치한 신발 조형물. /사진 제공=부산진구부산 부산진구 부암동 진양교차로에 위치한 신발 조형물. /사진 제공=부산진구




부산 서면 일대에 신발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신발특구’가 들어선다.



부산시 부산진구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서면 일대에 ‘신발산업 성장거점특구’로 지정받았다고 4일 밝혔다.

관련기사



신발산업 성장거점특구는 올해부터 5년 간 공공과 민간 분야 예산 320억 원을 투입해 신발산업 중심도시 조성, 신발산업 연계 청년창업, 신발산업 활성화 지원 등 3개 특화사업과 8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단위사업 특화사업자인 KT&G를 비롯해 부산시, 부산중소벤처기업청,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동의대, 경남정보대 등이 사업에 참여하거나 지원한다.

부산진구는 참여기관과 협력해 신발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제조, 유통의 안정화는 물론 신발산업과 연계한 청년창업 육성으로 장기적인 성장동력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특허법 등 5개 규제특례를 적용하고 생산 유발 효과 562억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350억 원, 소득 유발 효과 185억 원 등 1,097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598명의 직접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부산진구는 부산 신발산업의 태동지로 1960년대부터 1980년까지 부산 경제의 발전을 이끌던 지역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중국과 동남아에 밀려 신발산업이 쇠퇴했지만 현재도 맞춤형 신발 제작이 가능한 우수 기술력을 갖춘 소공인 중심의 신발 제조업체 252개가 모여 있다. 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신발산업진흥센터, 동의대 산학협력단 등 신발산업 연구·육성·지원을 위한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앞서 부산진구는 특구TF팀 구성, 연구용역 수행, 중기부 컨설팅 , 주민공청회 개최 등을 거쳐 지난 9월 특구 지정을 위한 신청을 완료했다. 서은숙 구청장은 “이번 특구 지정을 통해 부산진구가 혁신산업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