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화이자 개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입원·사망 확률 89% 낮춰

1,219명에게 먹인 결과 0.8%만 입원…사망자는 없어

위약 먹은 사람 입원률은 7%, 사망자도 7명

"곧 FDA에 사용승인 신청할 것"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다국적 제약회사 화이자는 자사가 개발 중인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입원과 사망 가능성을 89% 낮추는 것으로 임상시험 결과 나타났다고 밝혔다. 화이자는 곧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승인 신청을 낼 방침이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화이자는 코로나19 치료 목적으로 개발한 항바이러스 알약을 테스트한 결과 이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화이자 경구 치료제의 중증화 예방 효능은 앞서 나온 다국적제약회사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보다 높다. 머크는 지난달 임상시험 결과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19 입원율과 사망률을 절반가량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고 공개한 바 있다.

관련기사



화이자는 “먹는 치료제의 효과가 이처럼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자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이 시험을 조기에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면서 “이에 따라 FDA에 가능한 빨리 사용 승인 신청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이자는 “코로나19 증상이 가볍거나 중간 수준인 환자 1,219명의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증상이 시작된 뒤 사흘 안에 이 알약을 복용한 사람의 0.8%만 입원을 했고, 치료 후 28일 이내에 사망한 사람은 없었다”고 밝혔다. 반면 위약을 먹은 사람의 입원율은 7%였으며, 사망자도 7명이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화이자가 긴급 사용 신청의 일환으로 FDA에 이번 중간시험 결과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먹는 약에는 ‘팍스로비드’라는 이름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약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인 리토나비르와 혼합 투여하는 방식으로, 세 알씩 하루에 두 번 총 6알을 먹게 된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화이자의 이번 발표가 나오자 뉴욕증시에서 화이자의 주가는 장중 급등한 반면 머크의 하락했다.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