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벌금 600만원’인데 집행유예…대법 “판결 파기”

현행법상 ‘500만원 이하’만 집유 가능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 비상상고 제기

대법 “판결이 법령 위배”…집유 취소

[연합뉴스TV 제공][연합뉴스TV 제공]




대법원이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비상상고를 받아들여 하급심에서 잘못 선고된 집행유예 판결을 정정했다.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사기 혐의를 받는 A씨에게 벌금 600만원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에서 집행유예 부분을 파기했다고 10일 밝혔다.

축산물 유통업에 종사한 A씨는 2017∼2018년 빚더미에 앉은 상태로 삼겹살 등 축산물 2억1천여만원어치를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

이듬해 1심은 A씨에게 벌금 600만원을 선고하면서 형 집행을 2년 유예했다.



집행유예의 요건을 규정하는 형법 62조에 따르면 법원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선고할 때 범행 동기 등 전후 사정을 참작해 집행을 1∼5년 유예할 수 있다.

관련기사



당시 A씨에게는 벌금 600만원이 부과돼 집행유예 기준을 넘겼으나, 재판부는 기망의 정도가 미약하고 민사재판에서 조정이 성립했으며 A씨에게 전과가 없다는 등 이유를 들어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2심 역시 같은 판단을 유지해 벌금 600만원에 집행유예 2년은 확정됐다.

뒤늦게 이 선고가 집행유예 기준에 어긋난다는 사실을 파악한 대검찰청은 형 확정 3개월 뒤인 지난해 12월 비상상고를 제기했다.

비상상고는 형사 판결이 확정된 뒤 판결에 위법이 발견됐을 때 검찰총장이 대법원에 사건을 다시 심리해달라고 신청하는 비상구제절차다.

대법원은 "원 판결 법원으로서는 피고인에 대해 벌금 600만원을 선고하면서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없었다"며 "심판이 법령을 위배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판결문에서 집행유예는 사라졌으나 A씨는 벌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이는 판결을 수정하면서 피고인이 종전보다 불리해지게 하는 효력을 적용하지 않는 비상상고의 원칙 때문이다. A씨의 경우 애초 집행유예 때문에 벌금을 내지 않았으니 그 집행유예를 없앤다고 해서 도로 벌금을 내게 할 수는 없다는 취지다.

형사소송법을 보면 대법원은 비상상고로 판결을 바로잡을 때 원래의 잘못된 판결로 피고인이 불이익을 당했다면 대법원이 제대로 된 형을 다시 선고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오류 부분만 파기한다.


천민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