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세훈 "답변 시간 구걸 하지 않겠다" 시의회에서 민주당 의원들과 설전

16일 시의회 시정질문 참석

SH사장 임명, 서울런 등 쟁점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03회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김경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03회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김경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의회에서 "앞으로는 답변 시간을 구걸하지 않겠다"며 시의원들의 공세에 맞섰다.

이날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03회 정례회 시정질문에 참석한 오 시장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장길 시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면서 설전을 벌였다.

문 시의원은 지난 9월 3일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오 시장이 답변 기회를 주지 않은 시의회 진행 방식에 항의해 퇴장한 사건과 관련해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며 공세의 포문을 열었다.

그러자 오 시장은 "(당시) 답변을 드리려고 하는데 (시의원이) 일방적으로 사실관계와 다른 질문성 주장을 하고 답변 기회를 주지 않으면 불공평하지 않나"라며 "앞으로는 굳이 답변 시간을 달라고 구걸하지 않겠다"고 했다.



문 시의원이 "구걸이라니요"라며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라고 문제 삼자 오 시장은 "저는 그런 심정이었다"며 "이 자리가 시정 질문이라고 되어 있지만 질의·답변하는 과정에서 시민에게 정책을 이해시켜드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맞섰다.

관련기사



이어 문 시의원이 거듭 "임시회 퇴장 사건에 대해 사과를 안 하는 것이냐"고 묻자 오 시장은 "한 번 정도는 그런 (항의하는) 입장을 전달하고 싶었다. 이후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씀드렸다"며 고개를 숙이지 않았다.

또 산하 기관장 인사와 관련해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도를 넘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을 받자 오 시장은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동의해주지 못하는 건 미루어 짐작이 가지만 과거와 달라진 게 있다"며 "임추위(임원추천위원회) 구성이 보통 7명인데 3명이 시의회 추천, 2명이 시장 추천이고, 나머지 2명은 기관에 이미 임명돼 활동하는 분들"이라고 답했다. 최근 김헌동 SH 사장 후보 추천과 임명 과정을 에둘러 언급한 것이다.

오 시장은 "누가 봐도 제 의도대로 이심전심해 주실 분들보다는 냉혹하게 평가하는 임추위 숫자가 다수인데, 그런 상황을 통과해 기관장으로 취임했다면 혹독한 과정을 거쳤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민주당 김경 시의원의 질의에서는 오 시장의 역점 사업인 교육 지원 플랫폼 '서울런'을 두고 공방이 벌어졌다.

김 시의원은 "10월 말 기준으로 실제 서울런에 가입한 학생은 6,600여 명이어서 계산해 보니 1인당 54만 여원의 예산이 투입됐다"며 "해당 강의가 서울런 만을 위해 제작된 콘텐츠도 아닌데 왜 콘텐츠 제공업체들에 최소 보장액을 지원하느냐"고 추궁했다.

오 시장은 "인기 있는 업체들이고, 시중 가격의 44%인 저렴한 가격에 제공한 것"이라며 "그들 입장에서는 최소 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면 계약에 응할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

김 시의원은 서울런에 제공되는 '1타 강사' 강의 콘텐츠를 유료로 수강하는 학생들의 사례를 제시한 뒤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전 과목을 다 듣는 데 29만원이고 1년 무제한이다. (업체에서) 최신 블루투스 이어폰까지 준다고 하니 실제 강의료는 10만원도 안 되는 것"이라며 "그런데도 서울런에 제공하는 가격이 싼 것이냐"고 지적했다. 또 "올해 종료 기간이 한 달 반 정도 남았는데 (학습) 진도율이 30%밖에 안 되고, 멘토링은 가입한 학생의 20%만 이용하고 있다"며 서울런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질타했다.

오 시장은 "아직 사업 초기인 점을 고려해 달라"며 "교육 사업은 하나하나 문제를 제기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성과를 보고 평가해야 한다"고 응수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