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장군 진급자들에 "종전선언 뒷받침은 軍의 몫"

"견리사의 견위수명" 안중근 의사 유묵 강조

"2017년 심각한 한반도 위기, 평화로 지켜"

"첨단무기 외 장병복지, 성평등도 필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육해공군 준장 진급자 삼정검 수여식에서 진급자들에게 거수경례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육해공군 준장 진급자 삼정검 수여식에서 진급자들에게 거수경례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준장 진급자들에게 삼정검을 수여한 뒤 “종전선언을 뒷받침하는 건 군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문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육·해·공군과 해병대 준장 진급자 76명에 대한 삼정검 수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후 이어진 환담 자리에서 “견리사의(이익을 접하면 먼저 의로움을 생각한다) 견위수명(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의 책임감으로 사명을 다해 달라”고 격려했다. ‘견리사의 견위수명’은 안중근 의사가 유묵으로 남긴 말이다. 삼정검의 ‘삼정’은 육·해·공군이 일치해 호국·통일·번영의 3가지 정신을 달성한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평화를 지키고 경제를 발전시켜 온 것은 전적으로 우리 군이 국가와 국민을 든든하게 지켜왔기 때문”이라며 “군의 지도자이자 사회의 지도자인 장성으로서 국가에 위태로움이 오지 않도록 먼저 살피고 국가가 위기에 처하면 이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2017년 취임 직후 한반도 평화가 심각한 위기에 처했지만 강한 국방력과 강한 안보로 평화를 지켜 왔다”며 “종전선언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외교의 몫이지만 국방의 힘으로 뒷받침하는 것은 군의 몫”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강군이 되려면 첨단무기뿐 아니라 장병 복지, 인권 보호, 성평등 문화도 필요하다”며 “군인의 길을 걷는 사람에게 처음으로 별을 달고 진급한다는 것만큼 가슴 뜨겁게 벅차고 영광스러운 순간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전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이 대신했던 삼정검 수여를 현 정부 들어 문 대통령이 직접 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나온 말이었다.

이에 백신 수송지원을 담당했던 하헌철 육군 준장은 “초국가적인 위협에 대응해 백신을 수송하면서 군인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고,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을 맡았던 박태규 해군 준장은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지켰다”고 밝혔다. 아프가니스탄 조력자 이송작전을 수행했던 김진오 공군 준장은 “국가정책을 지원하고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국군으로 거듭나겠다”고 약속했고, 정종범 해병대 준장은 “무적해병의 정신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군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정정숙 육군 준장은 “이 자리에 오기까지 차별없이 기회를 보장해 준 상관 및 동료들, 믿고 따라준 부하들에게 감사하다”고 밝혔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