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국내 수출 기업의 구매가격이 평균 18.6% 오르고 영업이익은 5.9%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들은 내년 2분기까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12개 수출 주력 업종의 100개사를 대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기업의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은 작년보다 평균 18.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철강(29.8%) 분야 기업의 원자재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고 이어 석유화학·제품(26.3%), 일반기계·선박(19.5%), 전기·전자(반도체 포함·12.5%), 바이오헬스(11.6%), 자동차·부품(10.5%) 등의 순이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경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 기업의 83.0%가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12.0%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반응이었고, 5%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또 작년보다 올해 원자재 구매 비용이 늘어난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이익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83.5%는 원자재 가격이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경우와 비교했을 때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답했다. 영업이익은 전체 평균 5.9%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 영업이익 변동률은 일반기계·선박이 -8.8%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이어 석유화학·제품(-7.1%), 바이오·헬스(-6.0%), 철강(-5.7%), 자동차·부품(-5.2%), 전기·전자(-1.8%) 등의 순이었다.
올해 원자재 구매 비용이 늘어난 기업의 34.1%는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에 대응한다고 답했고, 31.1%는 원자재 외 원가를 절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재 선구매 및 확보(15.9%), 대체 원자재 발굴(12.2%), 대응없음(3.0%), 옵션 등 파생상품 활용(1.1%), 공장 가동 중단(0.4%) 등의 응답도 있었다.
제품 가격 인상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제품 가격을 평균 13.8% 인상할 것으로 예측됐다.
조사에 응한 기업의 76.1%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내년 2분기까지는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기업의 매출원가 중 원자재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0%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제품(53.3%)이 가장 많았고 철강(46.7%), 전기·전자(37.0%)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이 구매하는 전체 원자재 중 수입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7%로, 이 역시 석유화학·제품(47.9%) 업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은 원자재의 수입 비중이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취약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원자재 수입관세를 인하해 생산자 물가를 안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해외자원 개발 지원 등을 통해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처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