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선대위 수술 vs. 출범…민주-국힘 대선 싸움 "앞으로 2주가 좌우"

민주 매머드급 선대위 실험 접고

이재명에 전권 넘기며 혁신 일임

국힘은 '3金' 임명 등 출범 눈앞

대선주자 선호도 0.5%P差 박빙속

선대위 쇄신·화학적결합 여부에

판세 다시 한번 크게 출렁일 듯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추모 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추모 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묘하게 겹쳤다. 더불어민주당은 3주간의 매머드 선거대책위원회 실험(?)을 접고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칼을 넘겼다. 전권을 쥐고 선대위를 수술하라는 것이다. 수술마저 실패하면 민주당의 대선 싸움 결과는 뻔하다. 벼랑 끝에 서 있는 민주당은 그만큼 위기감이 높다. 이 후보가 22일 취업준비생, 워킹맘, 신혼부부, 청년 창업가 등 4명의 청년들과 함께 연 전 국민 선대위에서 ‘반성’이라는 표현을 열 한 차례나 언급할 정도로 자세를 낮춘 이유다.



국민의힘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후보 선출 보름이 지나 이른바 ‘3김(金·김종인·김병준·김한길)’ 선대위의 핵심 인물들을 임명하면서 선대위 출범을 눈앞에 뒀다. 하지만 진행이 더디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이 참여에 확답을 주지 않으면서 아직 매듭을 짓지는 못하고 있다. 그래도 국민의힘도 선대위 구성의 첫 단추를 낀 만큼 두 거대 양당의 대선 싸움은 점점 중원을 향하면서 일합을 앞두고 있다.

사실상 첫 싸움의 결과는 앞으로 2~3주의 여론 향방이 좌우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미 실패를 맛본 민주당의 선대위 혁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정체·하락 국면을 끝내고 반등의 머리를 들고 있는 지지율은 다시 고꾸라질 수 있다.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 선대위 출범에도 변곡점에 위치한 지지율이 우상향의 방향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역시 우하향으로 바뀐다. 민주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이나 국민의힘 모두 정말 중요한 2~3주의 시간”이라면서 “선대위 수술에 성공하느냐, 아니면 제대로 된 선대위를 출범시키느냐의 제대로 된 일합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표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여론조사 결과도 두 거대 정당의 심장을 뛰게 하고 있다. 지난 19~20일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해 내놓은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40%, 이 후보 39.5%로 0.5%포인트 차이의 박빙 판세가 나왔다. 야권 경선이 끝난 11월 1주에는 윤 후보가 이 후보를 12.1%포인트, 2주 차에는 13.2%포인트 앞섰는데 이날 지지율 격차가 0%포인트대로 좁혀진 것이다.



지난 보름간 두 후보가 보인 행보가 대선 판을 흔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위 대장동 의혹에 발이 묶여 있던 이 후보는 지난 2주간 주식, 교육, 소상공인, 아동 학대, 반려동물 진료비 등 민생과 밀접한 공약을 쏟아냈다. 이 후보는 국가재정법 위반 소지까지 감수하며 10조 원이 넘게 드는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추진했다가 철회하기도 했다. 정책 현안에 대해 적극적인 메시지를 낸 것이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진단이다.

관련기사



반면 윤 후보는 선대위 인선을 두고 2주간 야권 인사들과 줄다리기를 하면서 국민적 피로감을 키웠다.

앞으로도 마찬가지다. 어느 정당이 더 국민의 마음을 잡는 선대위를 만들 것인가에 승패가 달렸다.

실패를 맛본 민주당의 움직임은 일단 발 빠르다. 더 큰 쇄신에 돌입했다. 지지율이 회복세지만 여전히 청년 민심은 돌아오지 않고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완전히 털어내지도 못했다. 이 후보부터 전방위 사과에 나서며 쇄신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대장동 문제와 관련해서 ‘70%나 환수했다’ ‘거대 이권 사업에서도 사적 이익을 전혀 취하지 않았다’는 점만 주장했다”고 사과했다. 청년층을 향해서도 “좌절과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져야 하는 상황을 만든 데 대해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추모 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6주기 추모식에서 추모 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도 선대위 인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양수 의원은 선대위 수석대변인, 윤한홍 의원은 전략기획부총장, 박성민 의원은 조직부총장에 임명됐다.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의 임명은 ‘원톱’ 총괄선대위원장에 내정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동의한 인사다. 윤 후보는 “당 전체가 힘을 합쳐서 실제로 발로 뛰는 선거 조직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선대위 발족이 예정된 다음 달 6일까지 비서실장과 실무를 담당할 본부장급을 순차적으로 임명할 예정이다. 선대위는 DJ(김대중)계인 김한길 전 민주통합당 대표를 새시대준비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해 중도 확장의 큰 발판을 마련한 상황이다.

물론 일각에서는 두 후보가 선대위 인선을 두고 재차 내홍에 휩싸일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이 후보는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아직까지 구체적인 안을 만든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선대위 수술 작업이 만만치 않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윤 후보도 김 전 위원장과 인사의 실타래를 풀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각자의 길을 갈 수 있다. 윤 후보는 이날 김 전 위원장을 총괄선대위원장으로 임명하는 안을 최고위원회에 상정하지 못했다. 야권에 따르면 전날 김 전 위원장이 윤 후보가 발표한 김병준 상임위원장 등에 대한 인선에 부정적인 의견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측근인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도 기자들을 만나 “김 전 위원장이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걱정을 좀 하시면서 시간을 가지고 생각해보겠다고 하셨다”며 이 사실을 확인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두 후보 모두 잘해서 지지율이 오르는 상황이 아니라 서로의 실책으로 점수를 얻는 양상”이라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판단을 못하면 한쪽은 치명상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