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헤어롤이 세대 구분 상징"…美 NYT도 놀랐다

“헤어롤은 한국 여성 세대 간의 간극을 상징”

미국의 유력지 뉴욕타임스(NYT)가 헤어롤을 하고 길거리를 다니는 여성들이 한국 세대 구분의 상징이 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NYT 캡처미국의 유력지 뉴욕타임스(NYT)가 헤어롤을 하고 길거리를 다니는 여성들이 한국 세대 구분의 상징이 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NYT 캡처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헤어롤을 하고 길거리를 다니는 여성들이 한국 세대 구분의 상징이 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NYT는 21일(현지 시각) ‘공공장소에서의 헤어롤? 그들이 머리 하는 방식일 뿐’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시했다. NYT는 서울에서는 카페, 식당, 대중교통, 거리 등 어디에서나 앞머리에 헤어롤을 하고 다니는 젊은 여성들을 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앞머리에 헤어롤을 감고 다니는 것은 머리를 유지하기에 더 좋은 방법인 걸 넘어 그만큼 젊은 세대들이 독립적이고 남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NYT 캡처/NYT 캡처


대학생 정모(23)씨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약속 장소에 도착해서 모습이 중요하지, 가는 길에 지나치는 사람에게 어떻게 보이는 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나한테 소중한 사람들에게 잘 보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어머니가 공공장소에서 헤어롤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그만하라고 요청했지만 지금도 하고 다닌다"고 말했다.

NYT는 과거 한국 여성들에게는 꾸미는 모습을 남성에게 보여주는 게 부끄러운 일로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집에서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완전히 마친 뒤 나왔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기성세대는 헤어롤을 공공장소에서 하고 다니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이 때문에 헤어롤이 세대를 구분하는 상징이 되고 있다고 NYT는 분석했다. 한국의 젊은 세대들은 남들을 신경 쓰지 않고 더 자유롭게 본인의 선택을 한다는 해석이다. NYT는 앞머리에 헤어롤을 마는 것은 이제 한국에서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며, 길거리 뿐 아니라 연예인들도 앞머리에 헤어롤을 감은 사진을 찍어서 공유한다고 덧붙였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