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년전에도 '경찰 스마트워치' 개선 지적 받았다

권익위 '오차 가능성 설명' 강조

/연합뉴스/연합뉴스





서울 중구 데이트 폭력 살인 사건을 막지 못한 원인에 대해 경찰이 스마트워치 시스템의 한계가 있었다고 해명한 가운데 이미 3년 전 국민권익위원회가 관련 문제를 개선하도록 지적했던 사실이 확인됐다. 스마트워치의 오차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는 권익위 지적이 현장에서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권익위는 2018년 경찰청에 “스마트워치가 실내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해 사전에 착용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2017년 8월 부산 강서구에서 50대 여성이 헤어진 동거남의 위협으로 경찰의 신변 보호를 받다가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부터다. 피해 여성은 동거남이 찾아오자 스마트워치 버튼을 눌렀으나 순찰차는 여성이 있는 곳이 아닌 다른 곳으로 출동했다. 당시 피해자의 딸은 “어머니가 스마트워치를 믿고 있다가 살해당했다”며 권익위에 민원을 제기했다. 권익위는 경찰이 스마트워치를 도입할 때부터 신변 보호 대상자가 실내에 있으면 위치가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었는데도 이를 피해자에게 설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스마트워치의 문제점을 신변 보호 대상자에게 사전에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경찰은 이번 중구 살인 사건에서도 피해자에게 스마트워치를 지급할 때 작동법만 설명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2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위칫값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피해자에게 말했나”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위급 시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하는지 작동법을 주로 얘기한다”고 답했다.

피해자는 스마트워치를 믿고 안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날 일부 보도에 따르면 피해자는 스토킹 때문에 지인들에게 불안감을 호소하면서도 경찰이 지급한 스마트워치를 ‘만능시계’라고 부른 것으로 알려졌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