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새 메타버스 생태계 ‘아크버스(ARCVERSE)’를 선보인다. 네이버 연구·개발(R&D) 기관인 네이버랩스가 인공지능(AI), 로봇(Robot), 클라우드(Cloud) 기술을 디지털 트윈(현실을 쌍둥이처럼 똑같이 구현한 가상세계)에 접목해 만든 기술 집약체다. 네이버의 기존 3차원(3D) 아바타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보다 물리 세계에 맞닿아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시 인프라나 건물 유지·관리, 자율주행 등 다양한 현실 문제 해결에 활용될 전망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24일 네이버 연례 개발자 행사인 ‘데뷰 2021’에서 “앞으로 아크버스를 통한 흥미롭고 놀라운 성과들이 순차적으로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석 대표는 “아크버스란 현실과 가상 공간의 데이터,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융합되는 세상을 의미한다”면서 “AI는 인식·이해·최적화를, 로봇은 현실 세계의 물리적 매개 역할을, 클라우드는 현실을 그대로 본 딴 디지털트윈 세계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증강·가상현실(AR·VR),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회에 적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석 대표는 아크버스가 3D 아바타 기반의 가상 현실 서비스와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네이버의 또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석 대표는 “분야별로도 메타버스의 정의는 다르다”며 “네이버랩스는 현실 세계와 똑같은 디지털 세계를 창조하는 기술, 그리고 두 세계 간 직접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 대표는 네이버랩스가 그동안 집중해 온 AI, 로봇, 자율주행, 디지털트윈, 5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온라인 세계를 물리 세계와 자연스럽게 연결한다’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크버스에는 디지털트윈 솔루션인 어라이크(ALIKE)와 빌딩·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아크(ARC) 시스템이 담겼다. 어라이크는 항공사진과 AI를 통해 도시 3D 모델과 고정밀지도(HD맵) 등 디지털트윈 관련 핵심 데이터를 통합 생성·관리하는 솔루션이다. 네이버는 어라이크를 서울시 등 지자체 HD맵 구축과 스마트시티 등에 활용하고 있다. 아크 시스템은 물리세계와 거울세계를 잇는 기술로 올 연말 완공 예정인 네이버 제2사옥에 적용됐다. 또 빌딩을 넘어 도로를 자율주행하는 로봇을 통해 도시 여러 공간으로 연결되고 다양한 거점으로도 확장될 계획이다. 석 대표는 “아크 시스템의 성공을 위해 초저지연 성능의 5G 네트워크가 필수”라며 “현재 네이버는 정부 5G 특화망 정책에 발맞춰 모든 기술적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전했다. 5G 특화망은 5G 기술을 특정공간에 한해 도입하는 맞춤형 네트워크를 말한다. 관련해서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5G 특화망용 주파수를 할당받기 위해 신청서를 냈다고 밝혔다.
석 대표는 아크버스가 하나의 플랫폼, 시스템이 아닌 생태계라고 강조했다. 그는 “각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경계를 넘고 파이프라인을 연결해 만들어 내는 기술의 융합세계”라며 “따라서 파트너십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 인천시, 성남시 등 주요 지자체와 CJ, 신세계, 소프트뱅크 등 각 산업의 선도 기업들과 함께 새로운 도전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했다. 석 대표는 “기술은 개인, 회사, 언어, 국가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만나 융합될 때 새로운 세계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날 시작되는 데뷰를 통해 많은 이들의 경험과 지식이 융합이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