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호주가 중국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미국에 이어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화한 것이다. 일본도 관련 사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9~10일 민주주의 정상회의 전후로 외교적 보이콧 행렬에 보조를 맞추는 국가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8일(현지 시간)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베이징 올림픽에 장관 등을 파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도 “호주 정부 인사는 (내년 2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 때) 중국에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과 리투아니아·뉴질랜드에 이어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밝힌 것이다. 외교적 보이콧은 선수단은 파견하되 개·폐회식 등 행사에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이다.
이들 국가는 이번 결정이 중국의 인권 탄압 의혹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모리슨 총리는 “중국에 (신장위구르족 탄압 등) 인권 및 무역 갈등에 대한 우려를 직접 제기하려고 했다”며 “하지만 중국 정부는 기회를 주지 않았고 이에 (보이콧이라는) 결정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호주의 핵 잠수함 확보 문제를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최근 중국과 갈등이 이어진 끝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일본도 관련 사안을 검토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도 신장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근거로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해 대응하려 한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각료가 아닌 무로후시 고지 스포츠청 장관 혹은 야마시타 야스히로 일본올림픽위원회(JOC) 회장을 파견할 것으로 보인다. 산케이는 “이렇게 되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미국과 호흡을 맞추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주도해 한국과 대만 등 110개국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 전후로 사실상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는 국가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일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다른 나라들에서 (보이콧 결정을) 더 듣게 되리라 기대한다”고 밝혀 사실상 다른 국가를 압박하는 모습을 보인 바 있다. 영국·독일·프랑스 등이 외교적 보이콧 혹은 그에 준하는 방침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