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산화 트랜스퍼크레인, 부산 신항 서컨테이너부두 첫 반입

국산 하역장비 ‘트랜스퍼크레인’을 싣고 온 선박이 신항에 입항해 서‘컨’ 2-5단계 부두에 접안 중이다./사진제고=부산항만공사국산 하역장비 ‘트랜스퍼크레인’을 싣고 온 선박이 신항에 입항해 서‘컨’ 2-5단계 부두에 접안 중이다./사진제고=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2023년 개장을 앞둔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 2-5단계 부두에서 운용할 하역장비인 국산 트랜스퍼크레인(컨테이너장치장의 컨테이너 양·적하 기능을 하는 하역장비) 물량을 실은 선박이 9일 신항 현장에 입항했다고 밝혔다. 해당 장비는 BPA가 국내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 경제 활성화, 신규 일자리 창출 일환으로 추진 중인 항만하역장비 국산화 사업에 따라 첫번째로 제작됐다.



이 사업은 3,000억원 규모로 4년간 추진된다. BPA는 컨테이너크레인(부두 안벽의 본선 컨테이너의 양·적하 기능을 하는 하역장비) 9기와 트랜스퍼크레인 46기를 국내에서 제작해 서컨테이너 2-5단계 부두에 총 55대를 설치할 계획이다. 신항 서컨테이너 2-5단계 부두에 도입될 항만하역장비는 국내 항만 최고 수준의 제원과 자동화 시스템으로, 설계·제작·설치·검사 전 부문을 국내 기업에 의해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특히 2006년 개장한 부산항 신항 1부두의 트랜스퍼크레인을 마지막으로 국내 제작이 중단된 항만하역장비를 BPA가 국내 중공업 기업들과 협력해 18년 만에 다시 부산항에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욱 크다.

BPA는 2023년 7월 개장을 목표로, 2-5단계 부두 운영을 위한 장비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인접한 2-6단계 부두에도 국산 항만하역장비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BPA는 밝혔다.

박정묵 BPA 스마트장비부장은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 7위, 환적 물동량 2위인 동북아 환적거점항만 부산항 위상에도 불구하고 하역장비는 대부분이 외국산인 게 현실”이라며 “이번 사업은 우리 기술로 만들고 우리가 운영하는 고부가가치 항만사업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