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코로나 추가 악화땐 내주 특단조치"

정부, 다중시설 운영 제한 등 검토

성인 3차 접종 간격 3개월로 단축

김부겸 국무총리가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부겸 국무총리가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최악으로 치닫는 가운데 정부가 다음 주 특단의 조치를 내놓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일부 다중이용시설의 운영 시간 제한 방침이 특단의 조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확산세가 더 꺾이지 않는다면 (특단의 조치를) 다음 주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운영 시간 제한이나 사적 모임 제한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현재로서는 최대한 지난번 발동한 (방역패스 적용 대상 확대 등) 대책을 시행하며 병상을 확충하는 노력을 하도록 하겠다”며 “현재 유행세를 최대한 누그러뜨려 보고 ‘록다운(봉쇄)’은 없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백신 접종 정책도 강화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인천시청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정부는 발빠른 백신 접종을 위해 18세 이상 성인은 기본 접종 후에 3개월이 지나면 누구나 3차 접종이 가능하도록 간격을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18∼59세 성인에 대한 추가 접종 간격은 5개월, 60세 이상 성인은 4개월이었다. 아울러 원하는 사람에 한해서만 잔여 백신으로 1개월씩 간격을 줄일 수 있었다.

김 총리는 방역 상황에 대해 “사흘 연속 7,000명대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의료 대응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며 “특히 예상보다 높아진 중증화율로 인해 중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병상이 시급하다”고 우려했다. 또 “비수도권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추가 행정명령을 내려 1,700여 개의 병상을 확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윤경환 기자·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