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윤석열 “최저임금 성장률 감안해 인상, 주 52시간 근로 유연 적용”

尹 “민노총·한노총, 노동자 전체 대변 아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4일 “최저임금을 향후에 올릴 때는 경제성장률와 인플레이션을 감안해야 되고 주 52시간(근로제도도) 평균으로 해서 (기업별로)1개월, 3개월, 6개월 등 노사간의 합의에 의해서 해야 하지 않느냐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나서 “최저임금제도 폐지는 생각해본 적도 없고 당연히 유지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양대 노총을 겨냥해 “민노총, 한노총이 노동자 전체를 대변하는건 아니다”라며 “노동자의 전체의 근로조건의 향상과 복지를 노동정책을 다루는 정부는 노동자 전체를 봐야하는것이지 힘이 있는 노조단체와의 거래에 의해서, 정치적인 거래에 의해서 노동정책 결정하는 건 많은 노동자에게 불이익 주는 것이라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지불여력이 있는 대기업의 민노총에서 정부를 압박해서 최저임금을 많이 올렸다고 한다면, 소상공인 노동자 입장에서 말하면 나는 150만 원으로도 일할 용의가 있다고 하는데 못하게 한다고 하면 어떻게 되겠느냐”고 꼬집었다. 또 “자영업이나 소상공인입장에서는 그런 사람 고용할 수 없고 위축될 수 밖에 없고 아르바이트로 여러 사업 뛰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초생활보장제도로 생활할 수 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윤 후보는 “현재 최저임금, 주 52시간 제도는 이미 정해져서 강행된 것은 후퇴는 불가하다”며 현행 제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최저임금은 성장률을 감안하고, 주 52시간 제도는 기업별로 유연하게 적용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