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코에 뿌리는 코로나 백신 언제쯤 나올까…"주사보다 강력"

美 예일대 연구팀 발표…오지은 교수 제1저자로 참여

"비강내 백신이 주사형보다 광범위한 보호 효과 보여"

코에 뿌리는 흡입형 백신. /예일대 뉴스 홈페이지 캡처코에 뿌리는 흡입형 백신. /예일대 뉴스 홈페이지 캡처




콧속에 뿌리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주사형 백신보다 호흡기 바이러스에 더 강한 면역력을 형성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 미국 예일대에 따르면 이 대학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와 마운트시나이아이칸 의대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비강내 백신'이 '주사형 백신'보다 호흡기 바이러스에서 광범위한 보호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내용은 지난 10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Science Immunology)에 게재됐으며 오지은 KAIST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주사형 백신을 접종하면 전체 면역계에서 항체가 형성되지만, 비강내 백신의 경우 호흡기 질환의 초기 감염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코·위·폐 부위의 점막 표면에서 국소적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이들 부위에서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돕기 때문에 더 강한 면역반응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쥐 실험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사키 교수는 "바이러스에 대해 강한 강력한 면역 반응은 폐의 입구 부위에서 일어난다"며 "(해당 부위의) 점막에는 공기 또는 음식물 등을 매개로 전염되는 병원체와 싸울 수 있는 면역 방어 체계가 갖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백신 주사와 비강내 백신 모두 생쥐의 혈액 내 항체 수치를 증가시켰지만, 비강 백신의 경우에만 호흡기 바이러스가 숙주를 감염시키기 위해 머무르는 폐로 형성된 면역항체를 분비해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향후 다른 동물실험모델 등 여러 연구를 통해 비강내 백신이 사람에게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현재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그리고 추가접종(부스터샷)에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윤선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