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11월 생산자물가 전년대비 9.6% 상승…사상 최고치

인플레이션 압력 여전히 지속

미 FOMC 회의 결과에 관심 쏠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로이터연합뉴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11월 생산자물가(PPI)가 전년대비 9.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상 최고치로 소비자물가에 이어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14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11월 미국 PPI가 1년만에 9.6%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약 11년만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10월 PPI(8.6%)보다도 높은 수치다. CNBC방송은 “이번 PPI 상승률이 역대 최고 기록”이라며 “시장 예상치 9.2%보다도 높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변동성이 큰 식료품·서비스·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PPI도 전년 대비 7.7% 올라 10월 상승률(6.8%)을 훌쩍 뛰어넘었다. 통상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 역할을 한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물가를 잡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 시계도 빨라지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날 여는 올해 마지막 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종료 시점을 앞당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3~9일 월가 경제전문가 49명을 설문한 결과, FOMC가 테이퍼링 종료 시점을 당초 6월에서 3월로 앞당기는 결정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도 지난달 30일 미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며 “테이퍼링 속도를 높이는 게 적절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