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주 규모 4.9 지진 이후 13차례 여진…피해신고는 4건 접수

14일 제주에 지진이 발생하자 제주도교육청 공무원들이 건물 밖으로 나와 있다. /연합뉴스14일 제주에 지진이 발생하자 제주도교육청 공무원들이 건물 밖으로 나와 있다. /연합뉴스




제주 서귀포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9의 지진과 여진에도 한밤중 별다른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15일 제주지방기상청과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진이 발생한 14일 오후 5시 19분 이후 다음날인 이날 오전 5시 30분까지 약 12시간 동안 총 13차례의 여진이 발생했으며 규모는 1.3∼1.7 수준이다. 현재까지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들어온 신고 건수는 총 114건이다.



이 중 110건은 흔들림을 느낀다는 신고이고, 나머지 4건은 피해 신고다. 피해 신고 4건은 모두 제주시 지역에서 접수된 것으로, 베란다 바닥 타일이 벌어졌거나 창문 깨짐, 주택 내부 벽면 균열 발생, 주방 바닥 기울어짐 등이다. 소방당국과 제주도는 피해 신고 4건에 대해 안전조치를 했으며, 일부 피해 신고의 경우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거나 별다른 이상징후를 발견하지 못하는 등 피해가 대부분 미미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관련기사



기상청과 행정안전부 등은 제주 전역에서 진동이 느껴질 정도였지만 지진이 바다에서 일어난데다 단층이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움직인 덕분에 피해를 줄인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지진이 발생하기 전 지진의 전조라고 여겨지는 지진운(地震雲·지진구름)이 생겼다는 주장이 나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퍼지기도 했다.

14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모슬포에서 양털 모양의 구름을 목격했다는 도민 제보가 들어오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지진운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돌았다. 하지만 특정한 구름 모양은 지진 전조와 상관없다는 것이 지금까지 학계의 정설이다.

2016년 9월 경주 지진 때도 부산·울산 지역의 가스 냄새와 해운대 해수욕장 개미떼 이동, 구름 모양 등을 두고 지진 전조가 아니냐는 소문이 나돌았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다.

앞서 전날 오후 5시 19분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 해역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는 기상청이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1978년 이래 11번째 규모이자, 제주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가장 강력한 것이었다. 이전까지 제주 인근 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2008년 5월 31일 오후 9시 59분 제주시 서쪽 78㎞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2 지진이었다. 규모 5의 지진은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건축물에 금이 가거나 지붕에서 기와가 밀려 떨어질 수 있을 정도로 흔들리는 수준이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