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이산화탄소 자원화로 탄소중립 실현…현대ENG, 기술실증 돌입

GT사 세계최초 기술 활용…수소, 전기 등 생산

현대엔지니어링과 GT사가 현대제철 인천공장에 설치한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의 모습. /사진제공=현대엔지니어링현대엔지니어링과 GT사가 현대제철 인천공장에 설치한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의 모습. /사진제공=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이 ‘탄소 중립’에 기여할 이산화탄소 자원화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제철 인천공장 부지에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설비’를 완공하고 실증 단계에 돌입했다고 16일 밝혔다. 탄소 포집 및 자원화(CCU) 기술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부가적으로 수소, 탄산염 등을 생산해 자원화하는 친환경 플랜트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Metal-CO₂ System) 특허기술을 보유한 GT사와 공동으로 추진한다. 두 회사는 현대제철 인천공장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GT사의 10㎾급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을 통해 수소, 전기, 탄산염을 생산하게 된다. GT사의 특허기술은 이산화탄소 처리로 수소·전기 및 고부가 탄산염을 생산하는 세계 최초의 기술이다.

관련기사



이번 설비에서는 GT사가 기존 1㎾급으로 진행했던 연구단계에서 상업화 수준이 가능한 10㎾급 규모로 발전시켜 실증화가 진행 중이다. 하루에 3.2톤(t)의 이산화탄소를 투입하면 일평균 수소 72㎏, 탄산염 7.2톤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실증 사업을 완료한 후 2023년부터 300㎾급 이상의 상용화 플랜트에 대한 투자·운영을 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처리가 가능한 1㎿급의 시스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줄일 뿐 아니라 자원화 처리 과정에서 질소, 일산화탄소 등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배기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탄소 중립’ 기여는 물론 향후 탄소세 절감 및 탄소배출권 확보를 통해 ESG 경영체계 구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GT사의 기술에 더해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염 처리·저장, 기타 유틸리티 및 부대설비에 대한 패키지를 개발해 국내 및 해외로 일괄 설계·조달·시공(EPC) 제품 공급에 나설 방침이다. 자체 공장 투자를 통한 운영사업으로 사업 영역 확대도 계획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탄소 중립 시대를 맞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이 필요한 화학공장, 발전소, 제철소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 ‘메탈-이산화탄소 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ESG 기반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