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기업 우려 회피하는 윤석열

"노동이사제는 시대 흐름, 공공부문부터 해보고 판단하자"

이틀째 '친노동' 메시지

윤석열(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를 방문해 최태원 회장으로부터 ‘미래를 위한 경제계 제언’ 책자를 전달받고 있다. /권욱 기자윤석열(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를 방문해 최태원 회장으로부터 ‘미래를 위한 경제계 제언’ 책자를 전달받고 있다. /권욱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6일 대한상공회의소를 찾아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에 대한 찬성 의견을 또 한 번 밝혔다. 전날 한국노총을 방문해 재계가 반대하는 노동이사제, 공무원·교원 노조 전임자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 등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표명한 뒤 이틀 연속 ‘친(親)노동’ 메시지를 낸 것이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최태원 회장 및 회장단과 만나 약 50분간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윤 후보는 “공공기관 노동이사제는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시대의 흐름”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회장 측에서 노동이사제가 민간 기업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자 오히려 윤 후보가 회장단 설득에 나선 것이다.

관련기사



김은혜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후보의 입장은 노동자와 기업의 이해가 따로 분리돼서 가는 게 아니기에 노사 관계가 상생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공공 부문 노동이사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와 함께 일단 추진하고 시행해보면서 지켜보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재계가 어떤 것을 우려하는지도 잘 알고 있다”며 “윤 후보의 말을 듣고 간담회 참석자들도 공감을 표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노동이사제는 노동자 대표 1~2명이 기업 이사회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다. 노동계는 “노동자 역시 기업의 이해관계자”라는 입장이지만 재계는 “이사회가 기득권 노조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편 윤 후보는 모두 발언에서 네거티브 규제(금지 규정을 만들지 않는 한 모두 허용하는 규제 방식)를 통한 자유로운 기업 활동을 약속했다. 그는 “성장은 무조건 중요하다”며 “경제성장을 안 하면 여기저기에서 모든 사회적 갈등과 문제들이 두더지 게임처럼 올라온다”고 말했다. 그는 “자본시장법 등 모든 분야에서 국민의 안전과 관계되는 것만 아니라면 철저하게 네거티브 규제로 제도를 바꾸겠다”며 “외국의 어느 기업과 경쟁하더라도 정부 때문에 손해를 본다는 생각은 안 들게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앞으로는 민간이 좀 더 활력을 갖고 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정부도 민간을 도와주는 경제 생태계 복원이 중요하다”며 “후보의 경제 공약 기조에도 공감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