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충남도, 2050년→2045년 ‘탄소중립’ 5년 앞당긴다

양승조 지사, 탄소중립위 출범식서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발표

2045년까지 석탄화력 폐쇄…그린수소 늘리고 친환경차 확대 보급

양승조 충남도지사가 충청남도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충남도양승조 충남도지사가 충청남도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충남도




대한민국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있는 충남도가 탄소중립 실현 시기를 2050년에서 2045년으로 5년 앞당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20일 충청남도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전국 최초로 발표하고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공표했다.

이번 시나리오는 충남의 여건과 특성을 반영,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등 국가계획에 부합토록 작성했다.

양 지사는 “충남도는 지난해 12월 보령화력 1·2호기 조기 폐쇄를 견인하고 탈석탄·탄소중립 금고 정책에 대한 기업과 정부단체, 금융권의 참여를 이끌었다”며 “이 같은 노력은 80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양지사는 “그동안의 성과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2018년 1억6,130만톤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2030년 9,700만톤, 2035년 8,000만톤, 2040년 4,000만톤으로 줄이고, 2045년에는 실질적인 탄소중립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도는 지난 2019년 개최한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를 통해 동아시아 지방정부로는 처음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하고 ‘2050 탄소중립’을 공식화한 바 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전국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는 지난 5월 2050 탄소중립을 공동 선언했다.



탄소중립 실현 5년 단축을 위해 도는 먼저 탈석탄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에 집중하게 된다.

관련기사



도내 석탄화력발전 30기 가운데 2035년 설치한 지 30년이 됐거나 그 이상 지난 17기를 수명 연장 없이 폐쇄되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 7월 가동을 시작한 신서천화력발전은 수명 단축을 통해 나머지 12기와 함께 2045년 폐쇄 또는 중단토록 조치한다.

탈석탄 완성을 통해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는 2018년 기준 1억 250만톤에 달한다. 총 4,430만톤(2018년)인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도 대폭 감축한다.

2030년까지 ‘RE100(100% 재생에너지 사용 캠페인) 혁신벨트’를 구축하고 국내 수소 공급량의 30%를 점유해 그린수소 공급을 늘려가며 대한민국 그린수소산업을 이끈다.

또 신축 건물 제로에너지 의무화, 에너지 다소비 건축물 성능 개선 및 녹색 건축물 조성, 그린 리모델링 활성화 등을 통해 건물 부문 배출량은 2018년 230만톤에서 2045년 30만톤으로 줄인다.

수송 부문에서는 2018년 610만톤에서 2045년 20만톤으로 배출량을 96% 이상 감축한다. 2040년까지 수소차 49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기는 150기 이상 설치한다.

농축수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2018년 350만 톤→2045년 180만 톤)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그린바이오스마트시티를 조성하고 가축분뇨 에너지화, 포집 이산화탄소 농작물 공급 등도 펼친다.

도는 이밖에 △생활 속 탄소중립 문화 확산 △폐기물 에너지화 △탄소 흡수원 확대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상용화 등도 추진키로 했다.

양 지사는 “탄소중립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전 세계적 과제”라며 “정의로운 전환과 과감한 혁신 등을 통해 충남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탄소중립을 선도해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홍성=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