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초격차 삼성 D램, 점유율 더 늘렸다…3분기 연속 상승한 43.9%

SK하이닉스 27.6%, 美마이크론 22.7%

3사 합산 점유율 94.2%

“내년 D램 업황, 예상보다 덜 나빠” 전망





메모리반도체에서 압도적인 세계 1위를 달리는 삼성전자가 3분기 연속 시장점유율을 늘리며 ‘초격차’를 공고히했다. 시장에서는 올해말부터 내년 초 D램 가격 부진을 예상했지만 낙폭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21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43.9%로 전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41.0%에서 올해 1분기 41.2%, 2분기 43.2%, 3분기 43.9%로 3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2위 SK하이닉스와의 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4분기 11.7%포인트에서 올해 1분기 12.4%p, 2분기 15.0%p, 3분기 16.3%p로 꾸준히 확대됐다. 삼성전자의 D램 매출액은 평균판매가격(ASP) 상승과 출하량 증가 영향으로 대폭 늘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은 115억3,000만달러(약 13조7,299억원)로, 지난해 동기(약 8조5,366억원)보다 60.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지난 10월부터 업계 최소 선폭인 14나노미터(㎚, 10억분의 1m) 극자외선(EUV) 공정을 적용한 차세대 DDR5 D램 양산을 시작했는데 직전 세대보다 생산성을 20% 개선한 이 선단 공정기술을 앞세워 당분간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유지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삼성전자에 이어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27.6%의 점유율로 글로벌 D램 시장에서 2위, 미국 마이크론은 22.7%로 3위를 각각 유지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3사의 시장 점유율은 94.2%였다.

시장에서는 최근 다운사이클에 진입한 D램 시장의 내년 업황이 기존 예상보다 괜찮을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KB증권은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북미 4대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메모리반도체 주문을 축소할 것이라는 기존 예상과 달리 최근 주문량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며 “내년 D램 수요는 북미 4대 데이터센터 업체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20~23% 증가해 삼성전자의 D램 공급을 상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8월 ‘겨울이 온다’는 제목의 보고서로 메모리 다운사이클을 예상했던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도 이달 초 보고서에서 “겨울이 지구온난화를 만났다”며 기존 전망을 수정했다. 모건스탠리는 해당 보고서에서 PC용 D램의 수요 회복 등을 거론하면서 내년 1분기 D램 가격 예상 하락치를 기존 전 분기 대비 10% 하락에서 7% 하락으로 수정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