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신세계 이명희 회장 자택, 6년 연속 최고 비싼 집

공시가 311억…보유세 9.7억

이해욱 회장 삼성동 자택 2위에


전국 표준주택 중 최고가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자택인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2년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이 회장 자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311억 원으로 6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올해 295억 3,000만 원에서 5.3% 올랐다.



지난 2011년 준공된 해당 주택은 대지 면적 1,759㎡, 연면적 2,862㎡의 지하 2층~지상 1층 철근콘크리트 주택이다. 이 회장의 내년 보유세는 9억 7,294만 원으로 올해(8억 6,802만 원)보다 12.1%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1주택자 기준 세액공제가 없는 경우로 가정해 계산한 결과다.

관련기사



2위는 이해욱 DL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자택이다. 해당 주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205억 9,000만 원으로 올해(190억 2,000만 원)보다 8.3% 올랐다. 이 주택은 대지면적 1,034㎡ 연면적 2,617㎡ 규모다.

삼성그룹의 호암재단이 보유한 용산구 이태원동 소재 단독주택은 3위를 차지했다. 올해 175억 3,000만 원에서 내년 공시가격 184억 7,000만 원으로 5.4% 상승했다. 4위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의 이태원동 단독주택(177억 7,000만)이, 5위는 경원세기 오너 일가가 보유한 이태원동 주택(177억 6,000만 원)이었다.

이 밖에 안정호 시몬스 회장의 삼성동 주택(169억 3,000만 원),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한남동 주택(163억 7,000만 원), 이동혁 전 고려해운 회장의 이태원동 주택(140억 원) 등이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상위 10위의 표준주택 공시가격 합계액은 1,830억 2,000만 원이다. 상위 10곳 중 7곳은 용산구 한남동(3곳)과 이태원동(4곳)에 위치했다. 나머지 3곳은 강남구 삼성동(2곳)과 서초구 방배동(1곳) 등 강남권이다.


노해철 기자·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