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립부산국악원 굿·연희 시리즈 '굿 GOOD 이로구나' 선보여

임인년 새해맞이 시리즈…운수대통·무사태평 기원

내달8일~29일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국립부산국악원은 새해맞이 굿·연희 시리즈 ‘굿 GOOD 이로구나!’를 1월8일부터 29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개최한다.

새해맞이 굿·연희 시리즈는 전통문화예술의 원형이 담긴 ‘굿’을 무대화해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기획된 공연으로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국립부산국악원의 정월 행사이다. 다가오는 임인년에는 굿과 함께 부산지역에서 전승하는 연희도 함께 구성해 관객들에게 우리 전통문화의 고유한 멋을 전달하고 새해 운수대통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려고 마련했다.

내년 ‘굿 GOOD 이로구나’는 부산 연희와 굿을 망라한 무대로 굿을 통한 제의는 물론이고 농악 연주, 가면극의 재담과 춤, 소리를 기반으로 한 놀이까지 만나 볼 수 있다. 공연은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 동해안별신굿보존회 등 부산을 대표하는 무형문화재 전승 단체가 참여해 새해맞이 축원판을 펼친다.



8일 첫 연희판은 ‘동래지신밟기’(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와 ‘동래야류’(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이다. 마을과 각 가정의 안녕 및 풍농을 기원하고 불운을 쫓는 동래 지역의 대표적인 정초 의식과 놀이로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가 무대에 오르며 김준호(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동래지신밟기 보유자)의 사회로 진행된다. 농악 연주, 춤, 소리 등으로 벌이는 마을 공동체굿인 ‘동래지신밟기’와 정월 대보름 전후에 벌어지는 놀이 ‘동래야류’로 축제판을 만든다.

관련기사



구덕망깨소리./사진제공=국립부산국악원구덕망깨소리./사진제공=국립부산국악원




15일에 벌어지는 두 번째 공연은 부산 서구 서대신동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가 출연, 김익현(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 이수자)의 사회가 함께한다. 지신밟기 형태의 ‘부산고분도리걸립’(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과 판굿 중심의 놀이적 농악인 ‘부산농’악(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그리고 부산 지역의 전통 건축 과정에서 터를 다지는 도구인 망께로 땅을 다지는 과정과 이때 부르는 소리를 공연화한 ‘구덕망깨소리’(부산시무형문화재 제11호)를 무대에 올린다.

22일에 펼쳐지는 세 번째 공연은 부산 수영지역을 중심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무형문화재로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가 연행하며 배현열(부산시 무형문화재 제22호 수영지신밟기 보유자)의 사회로 진행된다. 정초에 마을과 각 가정을 방문해 지신을 밟으며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수영지신밟기’(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2호)와 정원대보름에 마을 사람들이 함께 즐기던 탈놀이 ‘수영야류’(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를 춤과 재담에 실어 표현한다. 그리고 수영 지역 농부들이 부르던 농업 노동요를 중심으로 작업 과정을 재현하고 연희화한 수영농청놀이(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도 만나 볼 수 있다.

29일 마지막 무대는 ‘동해안별신굿’(국가무형문화재 제82-1호)으로 그동안 국립부산국악원 새해맞이 굿판에서 빠지지 않고 연행되고 있다. 이 굿은 부산 동래로부터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남부 동해안지역일대에서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굿으로 마을사람들의 안녕과 어민들의 풍어를 기원하는 축제이다.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나오는 축원 사설의 풍부함이 돋보이는 동해안별신굿은 김신효(무형문화연구원 연구교수)의 사회로 동해안별신굿보존회가 함께한다.

공연은 취학아동이상 공연관람 가능하며 국립부산국악원 누리집과 전화로 에약 가능하다. 관람권을 구매하는 유료 관람객에게는 새해맞이 선물로 2022년 달력을 증정한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