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혼여성 70년생 94%가 출산경험 있는 반면 90년생 56.5%에 불과

통계청 "출산 미루거나 자발적 무자녀 많아 출산율 하락"

"청년층 가치관 변화도 저출산의 중요 원인"







기혼여성 가운데 1970년생은 94.3%가 출산 경험이 있는 반면 1990년생은 56.5%만이 출산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혼여성의 출산경험은 2010년 96%에서 2020년 91.6%로 떨어졌다.



24일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 플러스-저출산 시대, 기혼여성 해석하기'에 따르면 최근 출생 코호트(동일집단)의 출산율 하락 현상은 결혼 기간이 짧아 출산하지 않았거나 불임 또는 자발적 무자녀인 경우로 나타났다. 여기사 출산율은 기혼여성 중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시점에 출산 경험이 있는 사람의 비중을 말한다.

관련기사



보고서를 작성한 박시내 서기관과 박헤균 통계실무관은 저출산의 원인으로 가임여성 인구의 감소, 비혼 증가, 기혼여성 출산율의 하락 등 세 가지를 꼽았다.

출산율 하락에는 출산을 미루거나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초혼연령이 높아지면서 난임과 불임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기준으로 1980∼1984년생의 기혼여성 출산율을 보면, 20세 1.9%, 25세 14.8%, 30세 59.9%, 35세 80.3% 등이었다. 10명 중 4명은 30세에도 미출산 상태였단 뜻이다. 반면 1970∼1974년생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20세 3.5%, 25세 34.5%, 30세 76.8%, 35세 90.1% 등이었다.

박 서기관은 "결혼과 출산의 선택에는 객관적 상환뿐 아니라 결혼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 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며 "지난 수십 년간 혼인과 출산의 주력 세대인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는 제도 및 정책 변화보다 빨랐고 이것이 저출산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15∼49세 무자녀 기혼여성 가운데 43.3%는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응답했다.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24.2%였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