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토론 놓고 신경전, 尹 “싸움 밖에 안 돼” vs 李 “다툼 통해 판단”

TV토론 놓고 李·尹 입장차 뚜렷

尹 “野 경선 때도 누가 많이 봤나”

李 “결국 논쟁 보고 국민은 판단”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한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유튜브 캡쳐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한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유튜브 캡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TV토론회 개최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앞서 이 후보는 윤 후보에게 수차례 ‘맞장 토론’을 제안해왔다. 윤 후보가 토론 무용론을 꺼내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내자 이 후보는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맞받았다.

윤 후보는 25일 방영된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서 이재명 후보와의 토론에 대해 “별로 그렇게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토론을 하면 서로 공격과 방어를 하게 되고 자기 생각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렵다. 실제 해 보니까”라며 “자기 생각을 이야기하고 그걸 시청자들이나 전문가들이 보고 스스로 판단하는 게 제일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 후보와의 토론이 정책 검증이 아닌 비방전으로 흐를 것이라고 우려했다. “토론을 하게 되면 결국은 싸움밖에 안 나온다”라며 “국민 입장에서 봤을 때 이 나라의 공적인 정부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를 뽑는데 그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이런 걸 검증해나가는데 정책 토론을 많이 하는 게 별로 그렇게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경선에서 (토론회를) 16번 했지만, 그 토론 누가 많이 보셨나요?”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이 후보는 같은 날 오후 연합뉴스 TV ‘마크맨들의 수다’에 나와 “결국 논쟁을 보고 국민은 판단·선택하는 것인데 그 기회를 안 주겠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입장이 다른 사람이 당연히 존재하는 데 이것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가 정치”라며 “논쟁이 벌어지고 서로 설득해야 하고 타협해야 하는 과정 자체가 다툼인데 이걸 회피하면 정치를 안 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대의 정치에서 정치인이 취할 태도로는 적절치 않다”라며 “국민들도 다툼을 통해 판단한다. 괴로울지 몰라도 즐겨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지난 21일에도 “윤 후보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 뒤에 또는 이준석 대표 뒤쪽으로 자꾸 피하지 말고 본인이 이 나라의 미래를 책임지겠다고 나왔으니 저하고 맞대고 얼굴 보고 서로 논쟁도 주고받고 국민에게 어떤 차이가 있는지 누가 과연 이 나라 미래 담당할만한지 한 번 보여드리면 좋겠다”고 촉구한 바 있다.

여야 대변인들도 설전을 벌였다. 강선우 민주당 선대위 대변인은 페이스북에 “싸움을 핑계로 토론 회피의 명분으로 삼았으나, 결국 윤 후보는 자질 검증, 도덕성 검증, 정책 검증이 무섭다고 자인한 것”이라며 “국민의힘 경선 주자들에 대한 예의도 저버린 망언”이라고 비판했다. 남영희 대변인도 “최근 잇따른 실언을 막고자 국민의힘 선대위가 고심 끝에 내놓은 방안인가”라며 “현명한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담당할 사람이 누구인지, 대선 후보 각각의 정책과 능력, 비전과 가치를 검증하고 싶어한다”고 적었다.

장순칠 국민의힘 선대위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기본소득 철회, 국토보유세 포기, 부동산공약 뒤집기, 탈원전 정책 포장하기. 자고 일어나면 공약이 바뀌는 후보와 무슨 토론을 할 수 있을까”라고 받아쳤다. 그는 “토론도 격이 맞아야 할 수 있다”며 “아침저녁으로 입장이 바뀌고 유불리를 따지며 이말 저말 다하고 아무 말이나 지어내는 후보 얘기를 굳이 국민 앞에서 함께 들어줘야 하나”라고 꼬집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