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맨’ 이주열 8년에 실망한 직원들 “다음 총재는 외부 출신이”

직원 3명 중 2명은 “내부 경영 미흡”

급여 등 처우 개선 실패에 불만 고조

노조 “이 총재, 후배 직원들 돌아봐야”

한국은행 앞 /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 연합뉴스




내년 3월 말로 임기가 끝나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임기 동안 급여 정상화 등 내부 경영에 미흡했다는 직원들의 평가가 나왔다. 지난 2010년 외부 출신 김중수 전 총재 임기 동안 내홍을 겪었던 트라우마에도 절반이 넘는 직원들이 다음 총재는 외부 출신이 와야 한다고 할 정도로 이 총재에 대한 민심이 악화된 상태다.

28일 한국은행 노동조합이 이달 3일부터 10일까지 직원 7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7.9%가 후임 총재로 외부 출신이 와야 한다고 답변했다. 한은 내부 출신이 후임 총재가 돼야 한다는 응답은 26.4%에 그쳤고, 나머지 15.7%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직장인 익명 애플리케이션 ‘블라인드’에서 진행된 조사에서는 외부 출신을 선호한다는 답변이 80%에 이른다.



통화정책 독립성이 무엇보다 중요할 뿐 아니라 조직 안정성을 중시하는 한은에서 외부 출신 총재를 선호하는 것은 이례적인 현상이다. 특히 한은은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이었던 김중수 전 총재가 2010~2014년 분위기 쇄신 등을 위해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하면서 내부 갈등이 불거지기도 한 만큼 외부 출신 총재에 대한 불신이 자리잡고 있다.

관련기사



이런 배경에도 외부 출신 총재를 다시 선호하는 것은 2014년 취임해 8년 동안 임기를 지낸 이 총재에 대한 실망감이 극대화된 결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직원들이 외부 출신 총재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로 ‘내부 출신 총재에 대한 실망감(5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치권, 정부 등 외압에 대한 대처 능력(35.2%)’, ‘우수한 전문성(4.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부 출신 총재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조직에 대한 높은 이해도(64.2%)’가 가장 많았고, ‘독립적·중립적인 통화정책 수행 가능(23.5%)’, ‘축적된 정책 수행 역량(11.2%)’ 등이 뒤를 이었다.

직원들은 지난 8년 동안 이 총재가 통화정책은 대체로 잘 수행했으나 내부 경영은 실패했다는 평가를 내렸다. 통화정책에 대한 평가에는 50.2%가 B(보통), 27.6%가 A(우수)를 선택했다. 반면 내부경영에 대한 질문에서는 33.3%가 D(매우 미흡), 32.4%가 C(미흡)라고 답변해 무려 65.7%가 낙제점을 줬다.

한은 노조 설문조사 / 사진제공=한은 노조한은 노조 설문조사 / 사진제공=한은 노조


직원들이 내부 경영 실패를 꼬집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금융 공기관 대비 미흡한 처우 개선이다. 한은 노조에 따르면 2009년 공공기관 선진화 방침에 따라 대부분 금융공기업이 임금 5%를 일괄 삭감했으나 한은을 제외한 대부분 기관이 이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20~30대 젊은 직원들은 낮은 처우를 견디지 못하고 줄지어 이탈하는 상황이다. 차기 총재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업무에 대한 질문에서도 무려 74.7%가 급여 정상화(A매치 금융공기관 중 최상위 수준)를 선택했다.

이날 유희준 한은 노조위원장은 ‘이주열 총재는 후배 직원들을 돌아보라’라는 성명을 통해 “노조는 직원들의 유일무이한 바램인 임금 삭감분 회복을 위해 어떠한 협상 조건도 수용할 수 있음을 천명했으나 경영진은 내년도 인건비 예산에 임금 삭감분을 포함해 받아오는 데 실패했다”라며 “이 총재 재임기간 8년 동안 직원들의 삶은 궁색해지고 조직에 대한 불만과 불신은 극에 달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급여뿐 아니라 대내적으로 편파적인 인사와 무능한 내부경영, 직급 갈라치기 등으로 직원들의 불만은 한계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