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유바이오로직스 "코로나 백신 임상 2상에서 안전성·유효성 확인"

유코벡-19, 2상 결과 발표

회복기 환자혈청의 9배

내년 1분기 국내외 3상 계획

유바이오로직스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EuCorVac-19) /사진 제공=유바이오로직스유바이오로직스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EuCorVac-19) /사진 제공=유바이오로직스




유바이오로직스(206650)는 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EuCorVac-19)에 대한 임상 2상 중간결과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 7월부터 은평성모병원 등 국내 5개 기관에서 만 19~75세의 건강한 성인 229명을 대상으로 유코백-19의 2상을 진행했고, 지난 10월 임상 3상 비교임상계획승인(IND)를 사전신청한 상태다.

관련기사



유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임상 2상의 안전성 측면에서 임상약과 관련된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2차 접종 이후 통증, 압통, 발열 등의 백신 이상반응이 1차 접종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나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또, 유바이오로직스는 국제백신연구소와 가톨릭대 의과대학 백신·바이오연구소에서 각각 실시한 결합항체가 및 중화항체가(FRNT50%)와 세포성면역의 면역원성 평가에서 유효성을 확인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백신 2회 접종 완료 후 3주 경과 시점의 중화항체가는 저용량 대비 고용량에서 2.5배, 세계보건기구(WHO) 표준혈청기준인 결합항체가(BAU) 단위로 측정하는 결합항체가 역시 고용량에서 2.7배로 용량 비례성이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는 고용량군에서 백신 투여 전보다 중화항체가는 약 26.5배, BAU는 Anti-RBD 항체의 경우 1,040배, Anti-S 항체의 경우 455배 이상이며, 상업적으로 구입한 혈청패널과 비교해 보면 회복기 환자혈청에 비해 약 9배 이상의 수치"라고 설명했다. BAU는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항체의 양을 말한다.

세포성 면역도 용량의존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했다. 각 용량에서 IFN-r와 IL-4를 측정한 결과에서 IL-4 대비 IFN-r의 발현이 높아 세포성 면역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항체의존적면역증강(ADE) 형태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매우 낮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오미크론을 포함한 변이 바이러스에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추가분석에 따르면 유코백-19 2상 접종자 혈청은 우한바이러스 대비 델타 변이주에 대해서 90%, 오미크론 변이주에서 9.5%의 교차반응을 보였다"며 "이는 회복기 환자 혈청패널 대비해서 각각 9배 및 13배 이상 높다"고 말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이번 1·2상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2022년 1분기 중에 국내외 비교 3상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