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재택치료 3만명 달하는데 관리 '구멍'

모니터링도 연락도 제대로 안돼

4인 모임 유지·영업제한 조정될 듯

코로나19 치료 전담 병원인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응급의료센터에 도착한 환자를 옮기기 위해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연합뉴스코로나19 치료 전담 병원인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응급의료센터에 도착한 환자를 옮기기 위해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연합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지 3일째까지 재택치료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라는 안내가 없었습니다. 아이에게 고열이 계속돼 의료진에게 물어보려 해도 연락이 닿지 않네요.”



직장인 이 모(33) 씨는 최근 자녀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자녀와 함께 재택치료를 시작했다. 하지만 집에 도착한 것은 재택치료 키트뿐이었다. 관리자와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아예 없었고 궁금한 점들을 물어보려 보건소에 수차례 전화했지만 통화를 할 수 없었다. 그는 “이대로 모든 가족이 확진되는 게 아닌가 불안하다"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2만 7,858명으로 3만 명에 육박했지만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재택치료가 아닌 ‘재택방치’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의료진의 환자 관리나 재택치료 키트 등 물자 전달도 원활하지 않다는 불만이 나온다.

의료진이 재택치료자들의 건강 상태를 하루에 두 차례씩 모니터링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의료진 대비 담당 환자 수가 너무 많아 공백이 생기고 있는 것이다. 이달 초 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재택치료 전담 인력 수는 1,460명, 재택치료관리의료기관 수는 216곳이다. 의료진 한 명이 돌봐야 하는 재택치료자는 약 20명에 달한다. 정부는 2,860명의 한시 인력을 투입할 계획이지만 교육하고 배치하는 데도 시간이 한참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세가 심각해지며 현재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가 내년 초에 다시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이날 당정협의에서 현행 거리 두기 연장 필요성에 공감대를 나타냈다. 다만 업종별 특성에 맞춰 영업시간 미세조정이 필요하다는 요청도 나왔다. 이에 따라 전국 사적 모임 4인 제한은 2주 더 유지하면서 현재 오후 9시까지인 영업시간은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왕해나 기자·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