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통신망 '블랙아웃'시 와이파이 무료 개방한다

과기부 '네트워크 안정성 방안'

통신사간 백업체계로 먹통 방지


앞으로 유·무선 통신 장애시 공공은 물론 다른 통신사 와이파이가 무료 개방된다. 무선망 장애 시 타사 통신망으로 우회할 수 있는 백업 로밍망도 1.5배 늘린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사진제공=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0월 25일 일어난 KT(030200) 유·무선망 장애에 따른 후속 대책이다. 당시 사고로 전국 KT 회선이 1시간 가량 마비됐었다.



정부는 장애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복원하기 위해 통신사 간 백업체계를 확보해 다른 통신사의 유선망으로 우회해 접속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타 통신사 로밍 규모를 기존 200만에서 300만으로 확대하고, 재난 시 타 통신사 가입자에도 공공·상용 와이파이를 개방하도록 할 계획이다. 소상공인들을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유선 인터넷에 장애가 있더라도 휴대폰으로 ‘테더링’해 무선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표준 공용단말을 개발해 타사 유선망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네트워크 작업의 구조적 통제도 강화한다. 네트워크 오류에 따른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망에 영향을 주는 ‘코어망’ 전체로 모의시험체계를 확대한다. 승인된 작업만 가능하도록 중앙통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이상감지 시스템 구축도 검토하고 있다. 인적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인공지능(AI) 자동관제도 도입한다. 실제 통신망과 유사한 ‘디지털트윈’ 개발도 추진해 전국망 장애를 방지할 계획이다.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네트워크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 통신사업자 구조도 개선한다. 코어망은 계층화해 지역에서 발생한 오류가 전체망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KT 사고처럼 유선망 장애가 무선망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무선망도 재난 때 활용 가능한 경로를 확보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정전, 케이블 단선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주요 지역에 소형발전기를 추가 확보하고 굴착공사정보 공유DB를 구축한다. 아울러 재난 발생 시 문자·SNS로 장애를 즉시 고지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안전성 조치현황 연차보고서를 작성해 공개할 계획이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지난 2018년 KT 아현국사 사고 이후 대책이 자연재해·화재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방안에는 인적오류·정전·공사 등 내·외부적 요인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겼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