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신한울 3·4호기 찾은 尹 "원전산업 고사시킨 그 현장"

['탈원전 폐기' 선언]

"수많은 일자리 공중분해" 주장

2030년까지 10기 수출 등 공약

윤석열(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9일 오후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 현장을 찾아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울진=연합뉴스윤석열(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9일 오후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 현장을 찾아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울진=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9일부터 진행된 1박 2일 대구·경북(TK) 일정을 탈(脫)원전 정책의 유탄을 맞고 멈춰 선 경북 울진의 신한울 3·4호기 건설 현장에서 시작했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는 공약을 발표하기 위해 단상에 오르면서 현장에 참석한 사람들을 향해 “지금 보시는 데가 우리나라 원전 산업과 원전 수출산업을 고사시킨 바로 그 현장”이라고 말했다.



윤 후보는 현장에서 격앙된 목소리로 즉석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다.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겨냥해 “탈원전만이 정답이라고 강조해왔는데 왜 맨날 (원전에 대한 입장이) 바뀌는 것이냐”고 질타했다. 또 탈원전 정책 기조를 유지하며 한 건의 원전도 수출하지 못한 현 정부를 향해 “이제 중국이 (수출에) 나서고 있다”며 “중국에 자리를 내주는 것인가, 이 막강한 (원전 산업) 실력을 가지고”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문재인 정권의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전문가가 있는지 한 번 보시라. 거의 없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윤 후보는 단상에 올라 “신한울 3·4호기는 건설을 갑자기 멈췄고, 경제성을 조작해 월성 1호기는 조기 폐쇄했다”며 “수많은 원전 기업은 문을 닫았고 종사자들은 일자리를 잃었으며 원자력 전공 인력도 갈수록 떠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전 산업의 메카였던 창원, 신한울 3·4호기가 건설되던 울진을 비롯한 동남권 지역 경제는 바닥을 모른 채 가라앉고 있다”며 “연간 1조 원 이상의 부가가치가 사라지고 2,000여 개 중소기업이 폐업의 벼랑 끝에 내몰렸으며 수많은 일자리가 공중분해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집권 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오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원전 일자리 10만 개 창출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윤 후보의 이 같은 행보는 3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을 앞두고 술렁이는 TK 민심을 수습하는 동시에 반문 진영을 결집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윤 후보가 50여 일째 이어지는 당 내분에 발목을 잡히기보다는 반문 대표 주자로서 강한 대여 투쟁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보였다는 관측도 있다.

윤 후보는 전날 박 전 대통령을 향해 “대단히 미안한 마음”이라고 사과했다. 하지만 강성 친박 진영으로 분류되는 우리공화당은 윤 후보의 일정에 맞춰 반대 시위 등을 예고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윤 후보가 지방 일정을 탈원전 현장에서 시작하면서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반(反)문재인 대선 주자로서 상징성도 강조한 것이다. 윤 후보는 7월 정권의 탈원전 수사 압박 등을 거론하며 “정치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월성원전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고 밝히기도 했다.

윤 후보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공사 중단은 국가 범죄였다”며 “저는 탈원전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과학기술과 데이터에 기반하고 법과 절차에 따라 국민과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지속 가능한 탈탄소 에너지 정책과 원자력 정책을 다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구경우 기자·울진=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