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속혈당 측정기·인슐린펌프가 1형 당뇨병 개선에 도움

김재현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새로운 관리기기 속속 도입

환자 당화혈색소 수치 줄어

의료기 활용 제도적 지원을





채혈 없이 실시간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혈당 측정기, 미세한 주사침을 피하지방에 꽂아 인슐린을 자동으로 투약해 주는 인슐린 펌프 등 새로운 당뇨병 관리기기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이러한 최신 관리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국내 1형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A1C) 수치가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김재현(사진)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최근 10년간 국내 1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 방법과 혈당 조절 정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추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7개 대학병원에서 추적 관찰하던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 총 7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평균 당화혈색소 수치가 8.56%에서 8.01%로 감소했다. 이러한 현상은 남성과 어린 연령대, 연속혈당 측정기를 사용하는 환자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관련기사



연구팀에 따르면 최신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은 당화혈색소 조절이 수월하고 당뇨병 합병증을 경험할 확률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 다회주사요법과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는 환자들은 과거 방식대로 인슐린 주사를 맞은 환자들에 비해 당화혈색소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연속혈당 측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인 당뇨병케톤산증이 적게 발생하고, 인슐린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심한 저혈당이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됐다.

지난 10년간 최신 당뇨병 관리기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속혈당 측정기 사용은 10년간 1.4%에서 39.3%로 30배 가까이 증가했다. 인슐린 펌프는 2.1%에서 14%로 사용량이 약 7배 늘었다. 인슐린 다회주사요법은 63.9%에서 77%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고식적 인슐린 치료법은 33.9%에서 9%로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는 국내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 정도와 당뇨병 관리기기 사용현황 추세에 관한 첫 번째 보고다. 최신 당뇨병 관리기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혈당 조절과 합병증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국내 최초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김재현 교수는 "연속혈당 측정기 및 인슐린 펌프 사용이 최근 10년 동안 각각 7배와 30배 증가할 정도로 가파르게 성장했지만 해외와 비교할 경우 여전히 사용하는 환자가 적은 편"이라며 "의료기기 활용을 위한 환자 대상 교육 등 국가 차원에서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