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속 뒤집어져…허경영 고소하고싶다" 수험생들 폭발 왜

허경영 국가혁명당 대선후보. /연합뉴스허경영 국가혁명당 대선후보. /연합뉴스




허경영 국가혁명당 대선 후보 측이 불특정 국민들에게 무작위로 돌린 투표 독려 전화에 수험생들이 따가운 눈총을 보내고 있다. 지원한 대학교의 추가 합격 소식만 기다리고 있는데 허 후보 측의 전화에 허탈감이 커진 것이다.

교육계 관계자에 따르면 2022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추가합격자 등록이 최근 마무리됐는데 허 후보 측의 과도한 투표 독려 전화에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었다.



허 후보 측은 내년 3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안녕하십니까. 허경영 대통령 후보입니다. 힘든 현실을 이겨내고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와 국민 여러분 우리의 힘찬 미래의 첫걸음은 용기 있는 투표입니다. 허경영 대통령 후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10초 가량의 투표 독려 멘트가 담긴 전화를 불특정 국민들에게 돌리고 있다. 해당 전화는 개인 휴대전화 뿐만 아니라 병원 응급실까지 가고있다. 심지어 투표권이 없는 초등학생들의 개인 전화나, 일반 회사 업무용 내선번호에도 전화가 온다는 주장도 나왔다.

관련기사



수험생들은 온라인 카페 등을 통해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특히 허 후보 측의 전화번호는 서울 지역번호인 '02'로 시작해 서울권대학 지원자들은 혹시 모를 추가 합격 소식 기대감에 전화를 받는다고 한다.

한 수험생은 "몇초간 온탕·냉탕을 왔다갔다 한 기분이다"고 토로했다. 다른 수험생들도 "마음 다 정리했는데 허경영전화가 속 다 뒤집어놨다" "지지자도 바로 안티로 돌아설 것" "대체 누구인지 불쾌하고 화가 났다" 등의 분노를 표했다.

허경영전화로 자칫하면 추가 합격 전화를 받지 못 할 뻔한 사연도 나왔다. 한 누리꾼은 "아는 동생이 허경영 후보 측의 전화를 받는 사이 1지망한 대학교에서 걸려온 추가 합격 전화를 받지 못했다"며 "다행히 부모님에게 전화가 갔지만 큰 일이 났을 수도 있다"며 가슴 졸인 한 수험생의 이야기를 전했다.

한편 '허경영 전화'처럼 순수한 투표 참여 독려 활동은 선거법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직선거법 중 지난 2014년 신설된 제58조의2 조항에는 누구든지 투표 참여를 권유하는 행위를 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일각에선 개인정보 침해 논란도 일고있지만 이 역시 해당사항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 후보 측은 특정 개인의 전화번호를 확보해 전화를 돌린 것이 아니라 전문업체에 의뢰해 임의로 번호를 추출한 뒤 무작위로 전화를 걸고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허 후보 측이 1억원 넘는 돈을 투자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