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올해 가계대출 증가규모 전년보다 13조 줄어든다

당국, 증가율 목표치 4~5% 잡아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신용대출 상품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신용대출 상품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




올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최대 97조 원가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보다 13조 원 줄어든 규모로 올해도 가계 대출받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풀이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628조 원대로 추정된다. 2020년 말 잔액보다 7.2% 정도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2020년보다 약 0.8%포인트(p)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는 가계대출이 112조3,000억 원으로 8.0% 증가했다.

관련기사



작년 말 가계대출 잔액과 금융당국의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 4~5%대를 고려하면 올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65조~97조 원이 될 전망이다. 최대 5.9% 증가율까지 용인한다고 해도 지난해 증가액 110조 원보다 13조 원 정도 적다.

금융 당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강력한 가계대출 관리를 시사한 만큼 은행권에서도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4%대에서 관리하겠다는 입장이다. KB국민·신한은행이 4∼5%를, 하나·우리·농협은행이 4%대를 증가율 관리 목표치로 제시했다.

금융 당국은 올해 개인의 소득에 따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강화되는 만큼 지난해처럼 대출이 중단되는 일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부터 개인별 대출액이 2억 원을 초과하면 연간 원리금 합계가 연 소득의 40%(비은행권에서는 50%)를 넘을 수 없다. 7월부터는 총대출액 1억 원 초과자로 규제가 확대된다. 한국은행이 올해 상반기 두 차례 정도 기준 금리 인상에 나서는 게 유력한 점도 대출 수요를 억제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학습효과도 있고 올해 규제 강화, 금리 인상 등 변수가 있어 무조건 대출을 늘리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