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원전 시장 원하는 日, 美 차세대 원자로 개발 동참

이달중 협력 합의서 교환 예정

폐로 작업이 진행 중인 일본 후쿠이현 소재 몬주 고속원형로./EPA연합뉴스폐로 작업이 진행 중인 일본 후쿠이현 소재 몬주 고속원형로./EPA연합뉴스




미국이 추진하는 차세대 고속원자로 개발 사업에 일본이 참여한다. 사업 성공을 위해 일본의 원전 기술이 필요한 미국과 원전 시장을 필요로 하는 일본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1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와 미쓰비시중공업은 이르면 이달 중 차세대 고속로 개발에 관한 협력 합의서를 미국 측과 교환할 예정이다. 일본은 고속로 설계 기술과 운영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하게 된다. 미국의 차세대 고속로 개발 사업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세운 벤처기업인 테라파워와 미국 에너지부가 함께 이끌고 있다. 출력이 34만 5,000㎾급 고속로인 소형모듈원전(SMR)을 미 서부 와이오밍주에 지어 오는 2028년 운전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건설비 약 40억 달러(4조 7,620억 원)는 테라파워와 미 에너지부가 절반씩 댈 예정이다.

고속의 중성자 성질을 이용해 경수로 원전보다 플루토늄 등을 더 효율적으로 태울 수 있는 고속로는 강한 방사선을 장기간 방출하는 폐기물 양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건설 비용과 안전성 등에서 해결할 과제가 많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 때문에 미국은 나트륨을 냉각재로 쓰는 고속로 모델인 몬주 실험로와 원형로 운영으로 기술을 축적한 일본과 지난 2019년부터 협력 방안을 모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역시 기술을 활용할 무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1995년 후쿠이현에 세워진 28만㎾급 몬주 원형로의 배관에서 나트륨이 누출돼 2016년 12월 폐로가 결정되면서 사실상 고속로 실용화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