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韓조선, 작년 세계1위 中에 내줬다

고부가 선박 선별 수주 영향

中 수주량 50%…컨선 싹쓸이





지난해 한국 조선업계가 고부가가치 선박을 선별적으로 수주하는 전략을 택한 결과 선박 수주량 1위를 중국에 내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수주량인 4,573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의 50%인 2,280만CGT를 수주하며 가장 많은 수주량을 기록했다. 한국은 1,735CGT(38%)로 뒤를 이었다. 한국은 극심한 조선업 불황이 닥쳤던 지난해 2018년부터 3년 간 전세계 수주 1위를 지켰으나 그 자리를 중국에 내준 것이다.

관련기사



중국은 해상운임 급등에 따라 발주가 작년 대비 10배 이상 급증한 컨테이너선 수주를 싹쓸이하면서 한국을 추월했다. 다만 한국은 슈퍼사이클 도래로 발주량이 크게 늘자 제한된 건조공간을 고려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선별 수주하는 방식으로 수익성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에는 수주가 상반기에 쏠리는 이례적인 양상도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조선업은 수주가 하반기에 몰리는 경향이 있다. 2020년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빅3’ 연간 수주 66%가량이 4분기에 계약이 체결된 것도 그 사례다.

하지만 지난해 한국 조선은 1분기 579만CGT(34%), 2분기 527만CGT(30%), 3분기 366만CGT(21%), 4분기 263만CGT(15%)를 각각 수주해 상반기에만 전체 수주의 64%가 몰렸다.

업체별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한국조선해양은 1분기 60억달러, 2분기 80억달러, 3분기 59억달러, 4분 29억달러를 수주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분기 17억9,000만달러, 2분기 37억1,000만달러, 3분기 25억4,000만달러, 4분기 28억2,000만달러의 수주 실적을 나타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