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이자 부담 어쩌나”…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 8년만에 최대

저금리 장기화로 대출 금리 인상 부담↓ 영향

올해 금리 상승기.. 꼼꼼히 따져봐야

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 /연합뉴스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 /연합뉴스




지난해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율이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은행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7.7%로 10월 보다 3.0%포인트 떨어졌다.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줄어들면서 같은 기간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82.3%를 기록했다. 이는 85.5%를 기록했던 2014년 1월 이후 약 8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저금리 기조 장기화 로 변동금리 대출을 받더라도 큰 부담이 없을 것이라는 판단과 고정금리보다 낮았던 변동금리 영향이 일부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다만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하면서 ‘금리 상승기’에 접어든 만큼 대출금리를 꼼꼼히 따져 선택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한은이 올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한 차례 이상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최근 금리추이를 보면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낮다.

지난해 11월19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신규 코픽스(COFIX)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440∼4.861% 수준이다.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혼합형(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연 3.760∼5.122%로, 변동금리보다 하단이 0.320%p, 상단이 0.261%p높았다. 당장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더 높다보니 대출자 입장에서는 변동금리를 염두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지난해 12월 은행채 등 시장금리 급등세가 진정되면서 고정금리가 오히려 변동금리보다 낮아진 만큼, 앞으로 이같은 추세가 유지된다면 고정금리 비중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다.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710∼5.070%, 고정금리는 연 3.600∼4.978%로 변동금리가 0.1%p 안팎 더 높아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접어든 만큼 신규 대출자는 5년간 기준금리가 정해진 혼합형 금리가 변동형 금리보다 유리하다"면서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 중 고정금리로 갈아타기를 고민한다면 중도상환수수료 등을 잘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