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인니 석탄수출 금지 장기화땐 글로벌 가격 상승 우려

산업부 2차관 주재 TF 긴급회의 개최

"국내 전력수급 영향 제한적이지만 대응반 운영"

박기영(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3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영상회의실에서 ‘에너지·자원 수급관리 TF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박기영(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3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영상회의실에서 ‘에너지·자원 수급관리 TF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가 국내 전력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별도 대응반을 운영하기로 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인도네시아는 자국 내 공급 부족을 이유로 1월 한 달간 석탄 수출을 전격 금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에 따른 국내 에너지 및 전력 수급 동향을 점검하기 위해 ‘에너지·자원 수급관리TF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기영 산업부 에너지 차관과 담당 국·과장, 주인도네시아·주중국 한국대사관 소속 상무관, 발전 공기업 5개사,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임원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산업부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이번 조치로 이달 중 입고 예정이던 일부 물량의 입고가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으나 예정 물량의 55%는 이미 선적되거나 출항해 국내에 정상 입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이미 확보한 석탄 재고량과 호주 등 여타 국가로부터의 수입 등을 감안할 때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석탄의 연평균 수입 비중을 보면 호주 49%, 인도네시아 20%, 러시아 11%, 미국 9% 순이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호주 뉴캐슬에서 들여온 전력용 연료탄 가격이 1톤당 165.9달러로 지난해 10월 중순의 253.6달러 대비 가격이 떨어지는 등 석탄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 추이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의 수출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석탄 가격을 다시 상승세로 되돌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박 차관은 회의에서 “단기적 영향이 제한적이더라도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1월에 이러한 일이 생긴 만큼 철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국가 간 석탄 확보 경쟁 과열이나 가격 상승, 중국·인도 전력 수급 영향 등에 대한 상황 점검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인도네시아 석탄 수출 금지 조치 대응반’을 운영하면서 에너지 관련 기관 및 해외 공관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석탄 및 전력 수급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