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차에서 메타버스 접속하고 메타버스에서 로봇 조작…‘끊임없는 모빌리티’ 펼쳐진다[CES 2022]

도로에서 하늘로, 하늘에서 메타버스로 모빌리티 넓혀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MS와 협력…국내서 외국 공장 점검

모든 사물에 이동성 부여하는 PnD 모듈·모베드도 공개

현장 투입된 로봇개·조끼로봇, 전기차 충전 로봇도 만든다






#장거리 출장을 가는 중견기업 임원 A씨. 그는 출장지로 가는 자율주행차 안에서 메타버스로 접속한다. 중요한 임원 회의에 접속하기 위해서다. 한창 회의를 진행하던 중 그는 불연듯 집에 두고 온 강아지에게 먹이를 주지 않았던 게 생각난다. 그는 회의가 끝나고 ‘마이 홈’ 메타버스로 들어가 그곳에 있는 로봇에게 명령을 내린다. 집 안에 있는 로봇 아틀라스는 명령을 받고 강아지에게 사료를 준다. A씨가 호텔에 도착해 숙소로 올라가자 때맞춰 ‘플러그 앤 드라이브(PnD)’ 모듈이 달린 옷장이 도착해 내일 입을 옷을 보여준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현지시간 4일 CES 2022에서 공개한 로보틱스 비전은 모빌리티가 메타버스로, 메타버스가 다시 현실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메타모빌리티’ 세계를 그리고 있다. 여기에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되는 ‘Mobility of Things(MOT) 생태계', 인간을 위한 ‘지능형 로봇’이 인간의 삶을 바꿀 모빌리티 혁명을 뒷받침한다.

도로에서 하늘로, 하늘에서 가상공간으로 모빌리티 세계 넓히다

현대차그룹은 미래에 인터넷 등에 구축된 기존 가상공간의 개념을 넘어 현실과 가상의 구분이 사라진 새로운 형태의 메타버스 플랫폼이 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자동차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과 같은 모빌리티는 현실과 가상을 잇는 접점이 된다. 자율주행 시대에는 자동차가 단순 이동수단이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율주행차는 ‘달리는 스마트폰’이 될 것이라는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의 생각과도 궤를 같이 한다.

정 회장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갔다. 스마트 디바이스가 된 모빌리티를 통해 메타버스 세계로 접속하고, 로보틱스를 통해 메타버스와 현실세계를 연결한 것이다.

정 회장은 세계 최대의 첨단 전자제품·가전 박람회인 CES를 통해 끊임없이 ‘모빌리티 영역의 확장’을 화두로 던지고 있다. 지난 2018년 CES에서는 자율주행을, 2020 CES에서 UAM 비전을 제시한 데 이어 이번 CES에서는 메타버스와 로보틱스로 모빌리티의 영역을 넓혔다. 도로에서 하늘로, 하늘에서 다시 가상 세계로 나아간 셈이다.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당시 수석부회장)이 지난 2020년 CES 2020 개막 하루 전 '현대차 미디어 행사'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혁신적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공개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당시 수석부회장)이 지난 2020년 CES 2020 개막 하루 전 '현대차 미디어 행사'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혁신적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공개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스마트 팩토리’는 로보틱스와 메타버스가 결합된 대표 사례다. 스마트 팩토리는 메타버스에 실제와 같은 쌍둥이 공장을 구축하고 로봇을 포함한 모든 기기와 장비들을 연결한 ‘디지털 트윈’의 일종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도 실제 공장을 운용·관리할 수 있다. 가령 해외 공장에 문제가 발생하면 국내 사용자가 스마트팩토리에 접속해 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시를 내리면 로봇이 즉각적으로 문제를 수정할 수 있다. 현대차는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이 같은 스마트팩토리 구상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는 향후 기술의 진화로 로봇이 경험하는 오감을 사용자가 직접 느끼는 가상 경험(Proxy Experience)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대차는 이와 같이 로봇을 매개로 하는 경험이 일상은 물론 일하는 방식, 심지어는 산업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오며 이 과정에서 로보틱스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객 찾아가는 팝업스토어…모든 사물이 스스로 움직인다

관련기사



모든 사물이 로봇을 통해 이동하는 ‘Mobility of Things(MOT)’ 생태계는 정 회장이 그리는 로보틱스 비전의 한 축이다.

현대차그룹이 이번 CES 2022에서 공개한 ‘PnD 모듈’과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 Mobile Eccentric Droid)’은 모든 사물에 이동성을 부여한다는 MoT 개념이 반영된 로봇들이다.

PnD 모듈은 인휠(in-wheel) 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등 기존 자동차의 구동 체계와 환경인지 센서가 결합된 일체형 모빌리티다. 라이다와 카메라 센서를 바탕으로 지능형 스티어링, 주행, 제동이 가능하다. 연속적인 360도 회전은 물론 자유로운 움직임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PnD 모듈은 어떤 사물에든 부착해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작은 테이블에서부터 커다란 컨테이너까지 PnD 모듈이 부착되면 스스로 이동하는 모빌리티로 변모한다. 크기와 개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특정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고, 고객이 팝업 스토어와 같은 공간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공간이 스스로 고객에게 다가오는 상황도 가능해진다.

모베드는 실내외를 자유롭게 오가는 다용도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너비 60㎝, 길이 67㎝, 높이 33㎝의 직육면체에 4개의 바퀴가 달린 모베드는 다양한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다용도 모빌리티다. 모베드에 적용된 DnL(Drive and Lift) 모듈은 각 휠이 독립적으로 기능하고 각 휠에 장착된 모터가 물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돼 원하는 기울기를 확보할 수 있다. 현대차는 모베드가 흔들림을 최소화해야하는 배송 및 안내 서비스, 촬영 장비 등에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방지턱 등 도로의 요철과 좁은 공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설계됐기 때문에 실내외를 오가는 안내·서빙 로봇으로도 쓰일 수 있다.

현대자동차가 현지시간 4일 CES 2022에서 공개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사진제공=현대차그룹현대자동차가 현지시간 4일 CES 2022에서 공개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사진제공=현대차그룹




로봇개·조끼로봇 현장 투입한 현대차, ‘전기차 충전 로봇’도 만든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인수한 로보틱스 그룹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지능형 로봇’을 통해 메타모빌리티 세계 구현에 일조할 예정이다. 특히 인간의 행동을 그대로 옮길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를 잇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이번 CES 2022에서도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가 관람객들을 맞는다. 아틀라스는 전세계에서 인간 신체와 가장 유사한 모습을 갖춘 인간형 로봇으로 평가받는다. 총 28개의 유압 동력 관절을 통해 인간과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하며, 이동과 스테레오, 감지 센서를 통해 복잡한 지형에서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1.5미터 높이에 80㎏의 몸무게를 가진 아틀라스는 초속 1.5미터를 움직일 수 있고 약 11㎏의 짐을 들 수 있다.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오른쪽)’과 4족보행 로봇개 ‘스팟’./사진제공=현대차그룹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오른쪽)’과 4족보행 로봇개 ‘스팟’./사진제공=현대차그룹


로봇 개 ‘스팟’은 산업 현장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다. 네 개의 다리로 걷는 서비스 로봇인 스팟은 비전 센서와 음향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스테레오 카메라 등을 탑재해 인간이 접근하기 힘든 위험지역에서의 임무 수행을 대신할 수 있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로보틱스랩이 개발한 ‘AI 프로세싱 서비스 유닛(AI Processing Service Unit)’을 스팟에 접목시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공장 위험 요소 모니터링에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현대차는 인간의 신체 장애를 보조하고 신체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조끼형 착용 로봇(VEX·Vest Exo skeletion)을 2020년부터 북미 자동차 생산라인에 투입했고 서비스 로봇 ‘DAL-e(달이)’를 지난해 1월 공개해 현대차 송파대로지점에서 고객 응대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 향후 전기차 충전구를 빠르게 인식한 후 충전 케이블을 삽입하고 탈거하기까지 모든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을 개발해 전기차 인프라 개선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라스베이거스=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