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이재명 "탈모로 연애·취직 어려워 고통 많아…웃을 일 아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6일 탈모치료제에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는 공약과 관련, "젊은 사람들이 (탈모약을) 투약할 사람이 많은 데 연애도 어렵고 취직·결혼도 어렵다고 실제 그렇게 얘기한다"며 "웃을 일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MBC 100분토론에 출연해 "저도 사실 가까운 사람 중에 탈모 때문에 고민하는 분들을 꽤 많이 만나는데 실제 정말 고통스러워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후보는 "약값에 대해 상당히 부담스러워 해서 저는 국민들께서 고통스러워 하는 지점이 있으면 그부분을 해소하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을 복지로 봐야 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이론적으로 복지냐, 보건이냐 깊이 생각을 안 해봤지만 보건적 요소가 강하다고 본다"며 "더 나아 보이게 하기 위한 미용이면 복지에 가까운데 이건 고통을 완화해주는 것이라 보건 영역이라 보는 게 맞고 해줘야 할 이유가 많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 후보는 또 "(탈모약 건보 적용하면) '엄청 돈이 마니든다', '보건 재정이 파탄난다'고 하는데 연간 1000억원 정도 추가부담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며 "과거 박근혜 정부서 스케일링에 대해 보험처리를 해줬는데 그때는 퍼주기라고 안 하더니 지금은 퍼주기라고 얘기하는 것 보니 이해가 안 된다"고 반박했다.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탈모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3만4,780명이다. 하지만 대한탈모치료학회나 업계에서는 의료 기관을 찾지 않는 환자나 잠재적 질환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국내 탈모 인구는 1,000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탈모약 건보 적용’ 공약이 비만·발기 부전 치료제 건보 적용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대선 후보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경쟁이 가열될 경우 ‘해피 드럭’ 전반으로 건보 적용 이슈가 불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의료계에서는 선심성 정책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상이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페이스북에 ‘건강보험 재정 파탄 낼 이재명의 포퓰리즘 정치’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교수는 “이 후보가 탈모 치료제 건보 적용을 대선 득표 전략으로 무책임하게 던지고 말았다”면서 “경악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비급여인 탈모 치료가 건보 적용 대상이 되면 미용성형 및 피부과 영역의 수많은 시술과 치료도 같은 반열에서 급여화가 검토돼야 한다. 전 세계 어디에도 이런 나라는 없다”고 꼬집었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