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카카오 T 가맹택시 취소 수수료, 기사도 배분받는다

카카오 T 블루 상생 간담회 성료


카카오(035720)모빌리티는 가맹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 T 블루' 취소 수수료 일부를 기사들도 배분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개편했다고 7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달 21일 전국 7개 지역 카카오T 블루 가맹점협의회와 상생 간담회를 진행해 이와 같은 정책 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기존에는 카카오T 가맹본부인 KM솔루션과 DGT모빌리티가 취소수수료 절반을, 택시 가맹점 사업자가 나머지를 가져갔지만 가맹점협의회 측은 가맹본부가 수취하는 수수료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고 주장해 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반발을 수용해 가맹본부가 20%, 기사가 30%, 가맹점 사업자가 50%를 배분받도록 규정을 변경했다.

한편 가맹점협의회는 지역별 개인·법인택시 가맹점들의 협의체로 작년 10월 서울에서 먼저 만들어졌다. 이어 대구, 광주, 부산, 인천, 대전, 포항에서 결성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들과 카카오T 가맹본부 KM솔루션, DGT모빌리티 간 상생 협력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 사업자 부담 완화 ▲ 기사 수급 어려움 해소 ▲ 서비스 품질 관리 관련 소통 강화 ▲ 앱·가맹 서비스 운영 고도화 ▲ 상생기금 지원 등이 공통 요구사항으로 나왔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요구사항 중 양측 협의로 바로 진행 가능한 사안을 우선 과제로 선정해 올해 1분기 안에 빠르게 적용하겠다"면서도 다만 카카오 그룹이 추진하는 상생기금 운용 방안은 구체적으로 마련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택시 가맹업체 수수료를 이른 시일 내에 낮추기는 힘들다고도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간담회에서 양측은 여전히 가맹택시 영업 활성화를 위한 솔루션 개발·시스템 고도화 등 추가 기술 및 인프라 투자가 지속해서 필요하며, 이런 투자가 장기적으로 카카오T 블루 가맹점의 수익 증대에도 기여하기에 수수료 조정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고 말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