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공공조달로 ‘완전한 경제회복’ 지원 나선다

조달청, ‘2022년도 업무계획’ 발표…조달계약 63% 상반기 조기집행

경제활력 회복 선도, 공공조달 ESG 평가 도입

김정우 조달청장이 2022년 조달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조달청김정우 조달청장이 2022년 조달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조달청





조달청이 공공조달을 통해 완전한 경제회복 지원에 나선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11일 발표한 ‘2022년도 업무계획’을 통해 조달계약 34조원 상반기 조기집행, 벤처나라 판매 1,500억원으로 확대, 청년창업·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통해 경제활력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조달계약의 63%(34조2,000억원)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하고 상반기 조달요청하는 공공기관에는 조달수수료를 최대 10% 할인하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협의중이다.

한시적 계약특례를 적극 활용하고 긴급공고, 심사기간 단축 등을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조달사업을 집행할 계획이다.

공공조달을 통해 청년 창업·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 대학·지자체 창업센터와 협업해 혁신조달·벤처나라 참여를 유도해 청년 창업과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혁신제품 구매예산(465억원)의 10% 이상을 청년기업에 매칭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벤처나라 등록 가점(1점)도 신설해 청년기업의 공공조달 시장 진입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중소·벤처·창업기업의 국내·외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벤처나라 판매는 지난해 1,255억원보다 20% 늘어난 1,500억원으로 확대한다.



또한 오는 4월 예정인 ‘2022년 나라장터 엑스포’에서는 공공기관과 대기업을 대상으로 대규모 구매상담회를 개최해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 기회를 제공하고 수출전략기업육성사업, 혁신제품 해외현장실증 등 기업 맞춤형 해외시장 진출지원사업으로 강소기업이 해외조달시장에서 성장 모멘텀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



조달청은 국민 보건·안전물자의 안정적 공급, 공공시설물의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한다.

우선 해외의존물자 수급대응을 강화하고, 비축원자재 공급을 확대한다. 수급불안물자의 해외도입 소요일수를 35일에서 10일로 대폭 단축하고 긴급소요자금 481억원을 활용해 신속 도입을 지원한다.

비축원자재의 외상방출 한도를 30억원에서 50억원으로 확대하고, 외상·대여방출 기간·연장횟수를 각각 3개월, 1회 추가 확대한다.

아울러 사회적 가치(공공조달 ESG) 평가 도입, 탄소중립·녹색조달 기반 강화, 역동적 혁신조달 추진, 디지털·데이터 기반 조달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미래대응에 적극 나선다.

‘조달사업의 사회적 가치 평가 지침’을 마련해 ‘공공조달 ESG’ 도입을 촉진하고 현행 입찰가점 방식을 기본배점 방식으로 전환해 시범적용한다.

입찰평가 외 우수조달물품, 품질보증조달물품 등 각종 조달제도에도 환경·안전·고용창출 등에 대한 심사기준을 확대·신설하고 탄소중립·녹색조달 실천을 위한 공공조달 지원도 강화한다.

조달청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다진 제도·예산·조직 등 혁신조달기반을 토대로 2022년에는 혁신조달 시장활성화에 나선다.

혁신제품 시범구매예산은 465억원 확보해 조달청 혁신시제품을 올해말 500개로 확대하고 현장에 숨어있는 혁신제품을 발굴하기 위해 인큐베이팅·스카우팅 등 역동적인 방식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조달청은 보다 똑똑한 ‘차세대 나라장터’ 시스템을 만들기에 박차를 가한다. 2024년 개통을 목표로 전면 재구축중인 ‘차세대 나라장터’는 올해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혁신적인 서비스와 주요 기능들을 구현하게 된다.

2024~2025년 추진될 28개의 공공기관 자체 전자조달시스템의 나라장터 통합과 관련, 올해 통합조달플랫폼의 설계·개발을 착수하고 대상기관, 업무범위, 일정 등 통합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올해 목표인 완전한 경제회복과 미래를 준비하는 공공조달을 실현하기 위해 조달 수요자와 적극적으로 호흡하며 조달정책을 펼쳐 나갈 것”이라며“경제활력 회복과 국민안전 확보 등 시급한 현안에서부터 사회적 가치 실현, 탄소중립 실천, 혁신조달시장 활성화 등 공공조달의 미래를 준비하는 일까지 호시우보(虎視牛步)의 자세로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