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사망 40년만에 재조명되는 차학경 작가

NYT, 유관순·김학순 할머니 이어 부고 기사 게재

퍼포먼스·사진·영화·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작품 남겨

뉴욕타임스는 10일(현지시간) 국제 예술계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계 예술가 차학경의 삶을 재조명하는 기사를 실었다.뉴욕타임스는 10일(현지시간) 국제 예술계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계 예술가 차학경의 삶을 재조명하는 기사를 실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31세의 나이로 세상을 뜬 한국계 여성 예술가의 삶이 40년만에 재조명됐다.



뉴욕타임스(NYT)는 10일(현지시간) '간과된 인물들'이라는 시리즈의 일환으로 현재 국제 예술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차학경의 부고 기사를 게재했다.

관련기사



이 시리즈는 NYT가 창간된 1851년 이후 활동한 사람들 가운데 사망 당시 적절하게 평가를 받지 못한 인물들의 삶을 다시 소개한다는 취지로 이어지고 있다. 유관순 열사와 위안부 피해자인 김학순 할머니의 부고도 이 시리즈를 통해 독자들에게 알려졌다.

NYT는 1982년 연쇄살인범에게 목숨을 잃은 차학경의 예술세계가 미국의 아시아계 작가와 학자들을 넘어 현대 문학계와 개념미술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1951년 부산 태생으로 11세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 온 차학경의 대표작으로는 사망 직전 출판된 '딕테'가 꼽힌다. 차학경은 이 책에서 사진과 글을 통해 유관순과 잔 다르크, 만주 태생인 본인의 어머니와 가족들의 삶을 복잡하게 교차시키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최근 많은 미국 대학은 이 책을 페미니즘 및 아시아계 연구와 관련한 수업의 교재로 채택하고 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에서 학위를 딴 뒤 프랑스에서 영화 제작과 이론을 공부한 차학경은 퍼포먼스 외에도 사진과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차학경은 대표작인 딕테가 출판되고 2개월만인 1982년 11월 뉴욕의 한 건물 주차장에서 경비원에게 성폭행당한 뒤 목숨을 잃었다. 사건 발생 5년 후에 유죄판결을 받은 경비원은 연쇄살인범으로 밝혀졌고, 현재 수감 중이다.

국제 예술계도 시간이 지날수록 차학경의 작품세계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미술관 중 하나인 뉴욕 휘트니 미술관이 지나 1993년 차학경의 회고전을 개최했고,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안토니 타피에스 미술관 등에서도 특별전이 열렸다. 또한 대표작 딕테는 1982년 첫 출판에 이어 1995년과 2001년에 재출판됐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