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엿새만에 1.7배 빠른 '마하 10' 미사일 쐈다

정부 "기술 미완성" 평가 보란듯

'마하 6' 이어 동해상에 또 발사

文 "연속 도발 우려" 강한 유감

북한이 지난 5일 자강도 일대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모습. 엿새 뒤인 11일에도 미사일을 쏘아 올려 극초음속 대역인 마하10의 비행 속도를 실증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이 지난 5일 자강도 일대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모습. 엿새 뒤인 11일에도 미사일을 쏘아 올려 극초음속 대역인 마하10의 비행 속도를 실증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5일 자칭 ‘극초음속 미사일’을 쏜 지 엿새 만에 최대 음속의 10배(마하10) 안팎으로 비행하는 미사일을 발사했다. 미사일의 속도는 약 1.7배 빨라졌다.



합동참모본부는 11일 “우리 군은 오늘 7시 27분께 북한이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탐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발사체의 비행 거리는 700㎞ 이상, 최대 고도는 약 60㎞, 최대 속도는 마하10 내외”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합참은 “북한이 5일에 발사한 탄도미사일보다 진전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현재 한미 정보 당국이 발사체의 제원과 특성을 정밀 분석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 “최근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규정했다.

앞서 북한은 5일에도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사일 한 발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튿날인 6일 보도에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였다고 주장하며 120㎞를 ‘측면 기동’해 700㎞에 설정된 표적에 명중했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에 대해 우리 정부와 군은 당일 이례적으로 반박성 언론 브리핑에 나섰다. 북한 미사일이 마하6.0의 속도를 내기는 했으나 극초음속 비행체 기술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비행 거리도 700㎞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초도 평가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북한이 이날 마하10의 미사일 비행 기술을 과시함으로써 우리 정부와 군이 오판했음을 보여줬다.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미사일이 어떤 종류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북한이 지난해 9월 28일 시험 발사에서 최대 속도 마하3 안팎에 그쳐 극초음속 기술 실증에 실패했던 ‘화성-8형’을 재시험해 극초음속 기술을 실증했을 수도 있고, 이달 5일 발사했던 미사일의 성능을 다시 과시한 것일 수도 있다. 혹은 또 다른 미사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어떤 종류이든지 간에 북한이 유엔과 우리 정부의 만류에도 미사일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실제 북한의 이번 미사일 도발이 10일 오전 5시(한국 시각)부터 북한 미사일 도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가 개최된 후 단행됐다는 점에서 미뤄볼 때 북한은 대북 경제 제재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은 이날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인 오전 8시 50분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의 이번 발사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NSC 상임위원 회의 결과를 보고받은 뒤 “대선을 앞둔 시기에 북한이 연속해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한 데 대해 우려된다”며 “앞으로 더 이상 남북 관계가 긴장되지 않고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각 부처에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미 국무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복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하고 주변국과 국제사회를 위협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반면 중국 정부는 이번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각국이 과잉 반응을 자제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발사물의 성질은 아직 더 연구하고 판단할 필요가 있어 각국은 섣불리 규정하거나 과잉 반응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유관 각 측이 언행을 신중히 하고, 함께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각자의 관심사를 해결하고, ‘쌍궤병진(雙軌竝進·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의 병행 추진)’과 ‘동시 행동’ 원칙에 따라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을 추진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민병권 기자·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