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국 조선, 작년 수주 중국에 밀렸지만 LNG운반선은 87% 싹쓸이

한국 연간 수주량 2013년 이후 8년 만에 최대





작년 한국 조선업계가 전 세계 수주 1위 자리를 중국에 내줬다. 그러나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량의 87%를 휩쓸며 고부가가치선 분야에서는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여줬다.



11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 4,664만CGT(표준선 환산톤수) 중 1,744만CGT(403척, 37%)를 수주해 2013년(1,845만CGT) 이후 8년 만에 최대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국가별 발주량에서는 2,286만CGT(927척, 49%)를 수주한 중국에 밀리면서 1위 자리를 내줬다. 일본은 413만CGT(198척, 9%)로 3위였다. 작년 글로벌 선박 발주량은 전년(2,390만CGT) 대비 95% 늘면서 2013년(6,206만CGT) 이후 8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연간 선박 발주량은 2019년 3,059만CGT에서 재작년 2,390만CGT로 22% 감소한 뒤 지난해 4,664만CGT까지 늘었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대형 LNG선, 아프라막스(A-max)급 유조선의 발주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1만 2,000TEU급 이상 컨테이너선은 지난해 전년 대비 259% 증가한 1,120만CGT(188척)가 발주됐고, 벌크선은 107% 증가한 263만CGT(80척)이 발주됐다.

관련기사



대형 LNG선은 전년 대비 51% 증가한 647만CGT, A-max급 유조선은 58% 늘어난 128만CGT가 발주됐다.

초대형 유조선(VLCC)과 수에즈막스(S-max)급 유조선 발주량은 전년 대비 각각 21%와 62% 감소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LNG 운반선의 87%, 1만2천TEU급 대형 컨테이너선의 49%를 수주했다.

12월 한 달간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56만CGT(60척)였다.

한국은 이 중 48만CGT(7척, 31%)을 수주해 80만CGT(32척, 52%)를 수주한 중국에 이어 2위였다. 일본은 11만CGT(5척, 7%)로 그 뒤를 이었다.

지난달 말 기준 전 세계 수주 잔량은 11월 말보다 소폭(23만CGT) 감소한 9,020만CGT로 집계됐다. 국가별 수주 잔량은 중국 3,709만CGT, 한국 2,939만CGT, 일본 923만CGT 순이었다. 11월 말보다는 한국만 16만CGT 증가했고 중국과 일본은 각각 20만CGT와 5만CGT 감소했다.

지난달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지난 2009년 5월(156.58포인트) 이후 최고치인 154.18포인트를 기록하며 1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선종별로는 LNG선(174천㎥)이 1억 8,600만 달러에서 2억 1,000만 달러까지 상승하는 등 모든 선종에서 신조선가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