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재역전 尹…주춤한 李…상승세 安…"자책골에 승부 갈린다"

◆野 내홍 끝…요동치는 지지율

尹 '2030공략 효과' 회복세 뚜렷

李는 '여성 비호감' 못넘고 박스권

安은 중도층 흡수, 반사이익 지속

"'실수땐 진다' 구도 고착화" 분석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연합뉴스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 내홍을 수습한 뒤 지지율 회복세가 완연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지지율은 윤 후보 지지율 반등의 영향으로 일부 하락세를 기록했다. 다만 윤 후보는 경선 승리 이후 최고조였던 지지율에는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이를 흡수한 상태다. 윤 후보가 설 전까지 안 후보의 지지율을 가져오지 못하면 단일화 국면에 돌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요동치는 현재의 지지율이 자력 득점보다는 자책골로 인한 ‘어부지리’의 성격이 강한 만큼 큰 실수를 하는 쪽은 무조건 지는 구도가 고착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12일 서울경제가 이번 주 공표된 여론조사를 분석한 결과 윤 후보 지지율은 회복세가 뚜렷했다. 쿠키뉴스의 의뢰로 지난 8~10일 실시된 한길리서치 조사에서 윤 후보는 3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25~27일의 34.9%에 비해 3.1%포인트 반등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이 후보는 42.4%에서 35.3%로 7.1%포인트 하락했다.



윤 후보의 지지율이 회복한 것은 6일 ‘원팀 선언’으로 당 내홍을 수습한 뒤 2030세대를 겨냥한 선거운동을 펼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윤 후보는 7일 페이스북을 통해 ‘여성가족부 폐지’ 방침을 밝혔다. 또 주말 동안 ‘AI 윤석열’ ‘59초 쇼츠 영상’ 등 온라인에서 놀이로 여겨질 게시물을 쏟아냈다. 이에 윤 후보에 대한 20대의 지지율은 27.8%에서 4.3%포인트 오른 32.1%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이 후보는 7.9%포인트 떨어졌다.

관련기사



다만 윤 후보 지지율은 경선 승리 직후와 비교하면 아직 7%포인트가량 부족하다. 두 달여간 10%포인트 하락했다가 3%포인트 정도 반등한 것이다. 부인 김건희 씨의 ‘허위 이력’ 논란과 “부득이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등의 말실수로 깎인 지지율을 전부 회복하지는 못했다. 특히 60대 이상이 돌아오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윤석열(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연합뉴스윤석열(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연합뉴스


이 후보는 윤 후보 지지율 하락의 이득을 보지 못했다. 그는 각종 조사에서 40% 내외 박스권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윤 후보 지지층이 옮겨오지도 않고 중도층이 추가로 지지하지도 않는다. 이 후보에 대한 여성들의 비호감이 장벽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대진 조원씨앤아이 대표는 “이 후보는 여성층의 비호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윤 후보 지지율 하락의 반사 효과를 고스란히 누렸다. 안 후보는 한길리서치 조사에서 2주 만에 6%포인트 오른 11%를 기록했다. 스트레이트뉴스의 의뢰로 진행된 조원씨앤아이 조사(8~9일)와 YTN의 의뢰로 실시된 리얼미터 조사(10~11일)에서도 각각 3주 전에 비해 8.2%포인트, 8%포인트 오른 12.9%, 12.2%를 기록했다. 안 후보가 얻은 지지율은 윤 후보가 잃은 지지율과 비슷하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어서 안 후보가 조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관전 포인트는 이 후보의 박스권 돌파, 윤 후보 지지율 추가 회복이다. 특히 윤 후보의 지지율이 최고조 수준으로 회복되면 안 후보 지지율이 쪼그라들 수 있다. 안 후보는 아직 ‘마의 15%’를 안정적으로 돌파하지 못했다. 반대로 윤 후보가 실수하거나 악재가 터져 안 후보가 윤 후보의 지지율을 추가로 흡수하면 단일화 국면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엄 소장은 “윤 후보가 이 후보와 더 격차를 벌리면 안 후보와 자연스럽게 단일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에 인용한 여론조사의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