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한국 소설은 '82년생 김지영'

한국문학번역원 2016~2020년 판매량 집계

10개 언어로 번역돼 30만 부 이상 팔려





최근 5년 동안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판매 된 한국 문학 작품은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인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한국문학번역원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번역원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에서 출간 된 한국 문학은 37개 언어권 658종이다. 이중 34종이 누적 5,000부 이상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82년생 김지영’은 일본에서만 2018년 이후 20만 부 이상 팔리는 등 10개 언어권 판매량이 30만 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두 번째로 많이 판매 된 책은 한강의 ‘채식주의자’였다. 한국 작가 최초의 맨부커상 수상작인 ‘채식주의자’는 13개 언어권에서 16만 부 이상 판매됐다. 또 손원평의 ‘아몬드’가 일본에서만 9만 부 이상 팔렸고, 9개 언어권에서 출간 된 정유정의 ‘종의 기원’은 포르투갈어판이 브라질에서 2만 부 이상 판매되는 인기를 누린 것으로 파악됐다. 독일에서는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이 출간 후 1년 만에 5쇄까지 찍는 등 판매량이 1만 부를 넘어섰다.

번역원 조사 결과 언어권 별로 한국 문학 작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에서는 추리, 스릴러 등 장르문학에 대한 관심이 컸고, 영어권에서는 그래픽노블이 큰 주목을 받았다. 김금숙의 ‘풀’, 마영신의 ‘엄마들’이 연이어 미국 하비상 최우수 국제도서 부문에 오르기도 했다.

번역원은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계속 높아짐에 따라 번역 지원에 더 힘을 쏟기로 했다. 최근 5년 간 번역원 지원으로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문학은 2017년 127종에서 2021년 186종으로 늘어났다. 번역원 관계자는 “민간의 대산문화재단이 번역을 지원해주는 작품까지 더하면 한 해 200종 이상이 해외 독자와 만나고 있다”며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머지 않아 연간 300종 이상의 한국 문학이 해외에서 출간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