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중기부와 스마트공장 지원할 기업 찾습니다"

2022년 대중소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 주관기관 모집





중소벤처기업부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에 참여할 주관기관(대기업, 공공기관) 모집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대중소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일환으로 민간(주관기관과 도입기업)이 협업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정부가 구축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민·관 협력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이다.



주관기관은 자체적으로 마련한 기준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모집할 수 있으며, 정부와 민간의 지원 비율이 따라 크게 △유형1(기초, 고도화1, 고도화2)과 △유형2(소기업전용)로 나뉜다. 유형1은 정부지원금 비율이 최대 30%, 민간부담금(주관기관+도입기업)의 비율은 최소 70%이며, 정부지원금을 고도화 단계에 따라 기초는 4,200만원, 고도화1은 1억 2,000만원, 고도화2는 2억 4,000만원을 상한액으로 지원한다.

관련기사



아울러, 민간부담금은 대기업 등 주관기관이 30%이상 부담하고 도입기업은 최대 40%만 부담하게 되어, 도입기업은 비교적 적은 부담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지난해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그룹, LS일렉트릭, 포스코 등 대기업 9개사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서부발전 등 23개의 공공기관이 참여해 총 270억원 출연금으로 약 1,000개사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대기업과 함께 진단키트, 마스크, 보안경, 백신주사기 등 보건용품을 생산하는 20개사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신속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품질 좋은 제품을 단기간 내에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케이(K)-방역에 큰 보탬이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지난 해 초 백신접종이 시작되기 직전에는 주관기관인 삼성전자와 함께 ‘최소 잔여형(LDS, Low Dead Space) 주사기’ 생산 업체에 대량 양산체계 구축을 신속 지원해 생산량을 단 1개월 만에 기존 월 400만개에서 월 1천만개 이상 가능하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버려지는 백신을 최소화해 결과적으로 백신을 20% 증산하는 효과도 거뒀다.

주관기관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과 공공기관은 6월 30일(목)까지 신청할 수 있으나, 매칭이 가능한 정부지원금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

사업참여를 원하는 주관기관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사업 전담기관)에서 운영하는 스마트공장 1번가로 신청하면 되며, 동 사업에 참여 시 유의사항, 세부적인 지원사항 등에 대한 문의는 아래의 연락처를 통해 가능하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